earticle

논문검색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문법 수업의 효과 연구 - 중학교 1학년 품사 단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in Grammar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part of speech to 7th grade students -

김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korean grammar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quiry Instruction in grammar education is difficult.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students lack basic knowledge of grammar. ‘Flipped learning’ solves both problems. ‘Flipped learning’ proved effective in several papers. Is flip learning effective in gramma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14 7th grader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flipped learning class) or comparison group(lecture class) in Busan. Difference was examined between teaching method by the paired 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core of interest, confidence, and self-control. Especially the interest and confidence domains increased significantly a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 control group had lower scores on interest, value perception, and self-control. Especially value recognition and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a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lipping learning does not guarante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in grammar classes. However, learning attitude or self-efficacy is clearly improved.

한국어

본 연구는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문법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거꾸로 교실’은 여러 논문에서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문법 교육에 적용하기에 적절해 보인다. 문법 교육에서 탐구 학습이 어려운 이유는 탐구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과 학생들의 문법에 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런데 ‘거꾸 로 교실’을 도입하면 이 두 가지 문제가 동시에 해결될 것이다. 품사 단원을 배우게 될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14명을 실험군과 대조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기존의 방식대로 수업을 하고 실험군은 거꾸로 교 실의 방식으로 수업을 하였다. 실험 결과의 측정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나누어 인지적 영역 에서는 교내평가와 국가수준 기출 문항을 통해 학업성취를 측정하고 정의 적 영역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 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정의적 영역에서 실험군은 거꾸로 교실 수업 후에 흥미, 자신감, 자기조 절력 점수가 높아졌으며 그 중 흥미, 자신감 영역은 하에서 통계적 유의 수 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또한 대조군은 수업 후에 사후에 흥미,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점수가 낮 아졌으며 그 중 가치인식, 자기조절력은 통계적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즉, 문법 수업에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면 학업성취의 향상은 보장할 수 없으나, 학습태도 또는 자기효능감은 분명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중수 Kim, Jung-su. 감천중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