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한국어
가사 작품 가운데, <덴동어미 화전가>는 여성의 섬세한 심리와 조선 후기 의 서민들의 생활상을 화전가 형식으로 담아낸 조선 후기의 규방 가사이다. 당 대 현실과 선인들의 삶의 방식이 사실적으로 담겨있어 조선 후기의 시대상과 선인들의 교훈과 지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덴동어미 화전가>의 교수․학습 방안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안하였다. <덴동어미 화전가>는 조선 후기 가사의 갈래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그동안 갈래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에 스토리텔 링은 갈래 바꾸기를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갈래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측면에 바탕을 두고 논의의 출발을 삼았다. 이와 함께 스토리텔링이 학 습자 중심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실현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매체를 활용한 이야기 표현을 통해 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가사 교수․학습의 방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학습자는 작품을 바탕으로 이야기 창작을 통해 가사에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작품의 생략된 문맥은 학습자의 상상력에 의한 적극 개입으로 가사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매체의 특성과 창작 원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의 통합적인 목표 구현에 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스토리텔링의 원리를 바탕으로 <덴동어미 화전가> 교수․학습 의 원리와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덴동어미 화전 가> 교수․학습은 작품의 이해와 창작 활동의 연계를 통해 문학 활동의 통합 원리를 구현한다. 이러한 통합 원리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이 가지는 문학 교육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문학 활동인 수용과 감상 활동 의 기능 측면에서는 작품의 심층적 이해와 적극적인 감상활동을 실현하고, 창 의적인 발상과 상상력을 토대로 작품을 재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재구성 과 창작경험을 통해 문학의 감상과 표현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태도 형성 측면에서는 문학 교육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서 능동적인 문학 작품 감상 태도의 실현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도 기대할 수 있 었다. 마지막으로 지식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갈래와 매체의 재구성 절차를 담 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매체와 갈래의 속성을 이해하고 표현 원리를 습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교육적 의의를 살펴볼 수 있었다. 고전문학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부재, 난해함 등이 고전문학 교육을 둘러싼 문제의 중심에 있다. 고전문학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에게 기피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자가 고전문학을 고정되고 현실과 괴리된 실체로 바라보기보다 는, 고전에서 즐거움과 가치를 찾고 적극적으로 감상하는 대상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원문 해독과 지식 위주의 접근에서 벗어나, 흥미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교수․학습을 실현해야 한다. 이에 스토 리텔링은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실현하고, 문학의 수용과 창작의 통합 원리를 구현함으로써, 학습자가 가사 문학을 보다 적극적으로 감 상하고 작품에서 즐거움을 찾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가사 교 육이 지향해야 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 련하고, 고전이 안고 있는 궁극의 문제점인 학습자와의 거리감 해소에도 기여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2. 스토리텔링과 문학활동
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덴동어미 화전가>의 수용과 생산
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덴동어미 화전가>의 교수‧학습의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