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communication breakdown occurs and to find what causes communication breakdown between native Korean children and immigrated children in public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a case study research was employ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interviews on 8 children. The analysis of recording showed that inappropriate non-verbal express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tyle and manners were the most noticeable cause of communication breakdown along with stereotype. While inaccurate use of language was accepted generously, many of the subjects showed no tolerance on these matters. They pointed out that inappropriateness on these term, gives impression that immigrated children doesn't want to talk with them or do not respect them or, even worse, mock them. The repeated same emotional experience seem to form a negative stereotype and the negative stereotype seem to work as another factor causing communication breakdown. After all, all these communication breakdown factors are related to culture. To avoid communication breakdowns, I suggest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more precisely and definitely especially relate to speaking such as non-verbal express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tyle and manners.
한국어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일반 공립 초등학교에 다니는 중도입국학 생과 일반학생 간의 의사소통 장애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학생 의 한국어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언 어적 요인, 비언어적 요인, 문화적 요인, 심리적 요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언어적 요인은 정보의 이해와 관련하여 의사소통 장애를 일으키나, 연구 대 상 학생들은 이를 심각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으로 지적하지 않았다. 반면 비 언어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은 잘못된 정서전달과 관련하여 매우 심각한 의 사소통 장애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본고의 심리적 요인은 고정관념으로, 비 언어적 요인 및 문화적 요인으로 발생된 의사소통 장애 경험을 통해 축적 된 부정적 인식이 중도입국학생들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형성되어 또 다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심리적 요인과 관련하여 연구 대상 학생에게서 발견된 특성으로는 저학년 연구 대상 학생들의 경우 모두 가치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반면 고학년 연구 대상 학생 들은 대부분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는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관계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전무한 중도입국학생의 의사소통을 주제로 하였으 며 이를 중도입국학생이 적응하고자 하는 집단인 일반학생의 관점에서 탐 색해보았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도입국학생의 의사소통 장애 양상과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하 는 한국어 교육 및 문화 교육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 교육에도 유의미한 자 료가 될 수 있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중도입국학생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