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key concepts’ of the newly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fining the ‘key concepts’, the way it is selected, stated, and organized. In this study, a comparative study of language art key concept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comparing the language curriculums designed by two countries:State of New Jersey Standards Clarification Project and British Columbia’s Redesigned Curriculum. Firstly, the way of selecting the ke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other the countries. While the ke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based on knowledge, that of other countries are based on function. Secondly, in the way of organizing the key concep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nds to consider the subordinate parts more than the key concepts. In the results, validation of the key concepts of the newly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needs to be done for the future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새로 개정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으로 ‘핵 심 개념’을 도출하여, ‘핵심 개념’이 무엇이고, 어떻게 선정, 진술, 조직되어 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용 체계’는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제시되었는데, 국어과 의 ‘내용 체계’는 타 교과와는 사뭇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어, 현장으로부 터 다양한 비판을 들어왔다.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 육과정에서는 ‘핵심 개념과 기능을 중심으로 학년별 확장 심화가 가능한 학습 내용을 조직한다.’라는 주요 개정 방향에 따라, 핵심 개념을 문서 체 제에 반영하기 위하여 새롭게 구성된 내용 체계표를 제안하고 각 요소별 지침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핵심 개념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반영하고 있는 두 나라의 교 육과정과 비교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 체제상에 진술 및 조직되어 있는 방식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실행상 의 문제를 예상해보았다. 첫째, 핵심 개념 선정과 관련된 문제이다. 핵심 개념의 본질에 따르면, 핵심 개념으로 교육과정을 서술하기 위해서는 영역의 한계를 뛰어넘을 필 요성을 지닌다. 혹은 최소한 영역 간에 통합 및 융합을 위한 단초를 제공해 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상의 핵심 개념은 영역의 한계 를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외국에서의 빅 아이디어는 언 어 사용 습득과 관련하여 서술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핵심 개념은 지식 차원에 머무르고 있어, 선정된 핵심 개념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핵심 개념 조직과 관련된 문제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 개념을 영역보다 상위에 둘 것인지, 영역보다 하위에 둘 것인지를 결 정해야한다. 미국 뉴저지 교육과정에서는 영역 목표를 먼저 제시한 후, 영 역에 해당하는 빅 아이디어를 기술하고, 핵심 질문을 제시한다. 반면에 캐 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교육과정에서는 수준을 먼저 결정하고, 영역과 관계 없이 빅 아이디어를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핵심 개념’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적용되고, 더 나아가 앞으로의 국어과의 ‘핵심 개념’을 진술, 조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 기를 기대한다.
목차
2. 핵심 개념의 필요성
3. 외국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4. 국내외 핵심 개념 비교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