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나하방언의 모음충돌 회피

원문정보

Hiatus Resolution in Naha Ryukuan

이병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solutions of hiatuses created by a root-final vowel and a topic marker /-a/ in Naha Ryukua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Vowel coalescence is the default strategy for hiatus resolution in Naha Ryukuan. When vowel coalescence occurs, the features [back] and [round] of the output are drawn from the root-final vowel. Because the root-faithfulness constraint Ident(Color)root outranks the affix-faithfulness constraint Ident(Color)Affix. When the topic marker /-a/ is attached to root-final long vowels or diphthongs, the glide [j] is inserted. The reason that the glide is selected as the epenthetic consonant is that the most sonorous consonant, glide is the least marked consonant in intervocalic position. [j] is the only epenthetic glide in Naha Ryukuan, even though Naha Ryukuan also has the glide [w] in the consonant inventory. It is caused by the markedness scale for place of articulation, ⟦*Lab, *Dor ≫ *Cor⟧. Labial and dorsal consonants are more marked than coronal, therefore the labial glide [w] is excluded as the epenthetic glide.

한국어

본 연구는 나하방언에서 명사 끝모음과 주제 조사 /a/의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모음충돌의 회피를 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나하방언에서는 모음융합이 모음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기본 방책으로 사용된다. 모음융합 시 [back]과 [roud] 자질값은 명사 끝모음의 자질값을 계승하는데, 이는 어근에 대한 충실성제약이 접사에 대한 충실성제약의 상위제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주제 조사 /a/가 장모음이나 이중모음과 결합할 때, 전이음 [j]의 삽입이 일어난다. 삽입자음으로 전이음이 선택되는 것은 모음 간에서는 울림도가 높은 전이음이 가장 덜 유표적인 자음이기 때문이다. 나하방언의 자음 목록에는 전이음 [w]도 있지만 삽입되는 전이음은 [j]뿐이다. 이는 ⟦*Lab, *Dor ≫ *Cor⟧와 같은 조음위치에 따른 유표성 위계에 기인한 것이다. 순음이나 설배음은 설정음보다 유표적이라 양순전이음 [w]는 배제되고 설정음인 [j]가 삽입자음으로 선택되는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명사와 주제 조사의 결합 양상
3.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3.1 모음융합
3.2 전이음 [j] 삽입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이병훈 Lee, Byeong-Hoon. 전남대학교 교수, 일본어 음운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