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업승계기업의 장기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Long term Performance of Business Succeeded by Family Member

이미영, 이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tried statistical analysis to find the long term evidence of superior performance of succession by a family member. To measure this phenomenon, we used time series financial data and traced all listed companie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of korean stock market with secondary data set. To analyze these phenomenon, we gathered 35 sample firms succeeded by a family member. Then we measured long term performance using CAR(Cumulated Abnormal Return) and BHAR(Buy and Hold Abnormal Return) of each sample firms in capital market using bench marks of KOSPI index , industry index and B/M(book to market) ratio based model and found smoothly accelerating CAR through the period significantly. We found significant superior performance that means succession of family business has more positive upgrade of performance from the view point of market. Secondly, the longer the succession period, we found positive CAR and BHAR significantly. And we found that there was some difference of performance measured from the view point of quantity or weight of equity succeeded. To sum up, in this study, we found the significantly positive succession effect of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from the view point of capital marke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armaceutical industry, enough time for CEOs' training and adaptation before succession of family business seems to help achieving the long term strategy or target and to reduce the agency cost that is to improve finitely the market value of firms.

한국어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차별적으로 통계적 검증을 위한 가업승계기업의 표본을 확보하고 시계 열 재무자료를 활용하여 장기성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가업승계와 관련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공시 되지 않는 현실적 제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약업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가업승계 기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2차 자료(secondary data)를 기반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장기성 과 측정은 event-time 포트폴리오 접근방법으로 누적초과수익률(CAR)과 매입-보유 초과수익률 (BHAR)을 측정하였으며, 벤치마크수익률은 KOSPI 및 KOSDAQ 지수수익률과 기업규모와 장부가/ 시가비율(B/M ratio)을 이용한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적용하였다. 가업승계가 이루어진 35개 기업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업승계 이후 가족기업의 장기성과는 대체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나 승계가 이루어 진 이후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경영성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후계자에게 경영권 승계 가 이루어지는 승계기간이 길수록 장기성과에 있어 매우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여준다. 셋째, 후계자의 지분율이 높을 경우 보다는 낮은 경우에 전반적으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후계자에 대한 충분한 훈련과 조직적응을 위한 기간을 거친 가업승계일 경우 기 업의 장기적 전략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영자와 주주 간에 발생하는 대리인 비용 감소 효과로 인해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1. 가업승계 개념
2. 선행연구
III. 연구설계
1. 가설의 설정
2. 표본
3. 실증분석 방법과 실증모형
IV.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1. 가업승계 이후 장기성과 분석
2. 세대별 장기성과 분석
3. 승계기간에 따른 장기성과 분석
4. 지분율(또는 상대적 지분율)에 따른 장기성과 분석
V. 결론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미영 Lee, Mi Young.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 이덕훈 Lee, Deock Hoon. 세종사이버대학교 회계세무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