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내 집’ 만들기 :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원문정보

Making ‘My home’ : spatial strategies of young women as housing precariat

권민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cept of precari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subject by designating unstable workers as one class and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aspects linked to job market instability.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ender as a cause of precariat formation, and subjectivity of the precariat has been overlooked. This paper contributes to current discussion by employing the concept of precarity and precariat to analyze housing experiences of Korean young women and investigates major factors in forming housing precariat, aspects of housing precarity, and their spatial strategies. In this paper, housing precariat is defined as a group that experiences the absence of housing space where one can feel comfortable and secure, with privacy protected, and can focus on self-improvement without interruption,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hysical dwelling space. The combination of growing economic precarity caused by the diffusion of neo-liberalism and the patriarch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creates housing precariat among young women in South Korea. However, in Korean society where normative life course, such as marriage, is taken for grante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s regarded as a temporary problem and remains on the fringe of housing welfare policy. Despite the given set of circumstances, they try to improve housing stability by implementing diverse spatial strategies such as migration strategies, communal housing, and alternative place-making. This paper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precarity of Korean young women, which has been at the periphery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the need to introduce gender mainstreaming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한국어

불안계급 논의는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정치 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동 시장 불안정과 연결된 심리적 양상을 드러냈다. 하지만 기존의 논의는 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젠더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불안정성의 양상을 강조하여 불안계급의 주체성을 간과하였다는 한계 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불안정성(precarity)과 불안계 급(precariat) 개념을 이용해 20대 초반~30대 초반 청년 여성들의 주거 경험을 분 석하여 이들을 주거불안계급으로 개념화하고, 청년 여성들이 주거불안계급을 형 성하는 요인, 이들이 경험하는 주거불안의 양상과 공간전략을 조명한다. 주거불안 계급은 경제적 불안정성과 도시 공간의 젠더 편향으로 인해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끼며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주거 공간의 부재로 불안을 느끼는 집단이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와 한국의 가부장적 역사·문화적 맥락이 결합하면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고 있는데, 생애과정의 규범적 이행을 당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주거불안은 일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청년 여성들은 주거 불안계급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이동 전략, 공동 주거, 대안적 장소 만들기 등 다양한 공간전략을 실천함으로써 독립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인 면모를 보인다.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한국의 청년 여성들 이 경험하는 주거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주거복지정책에 성 주류화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주거불안계급과 공간전략
3. 어디에도 없는 ‘내 집’: 주거불안계급으로 등장한 청년 여성
4. ‘내 집’을 찾아서: 주거불안계급의 공간전략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민지 Gwon, Minji.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M.A.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