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Key Competencies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Task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requirements for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realization in the school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ency suitability and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tasks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described focusing on the competencies since they consist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tent factors and the functions. Secondly, the key competencies, the subject competenci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well connected. Thirdly, the indicators of integration are not reflected enou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urthly, the performance tasks of each unit are more relevant to the competencies than the performance tasks by the topics are. Fifthly, a lot of performance tasks require the competencie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flection of each competency. Sixthly, few performance tasks meet the requirements for Relevance, Richness and Rigor. Accordingly, we need to improv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how to make a Social Studies textbook to make sure that acquiring the competencies useful for the learners’ life should be the curriculum and the aim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취지가 학교교육으로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요건을 점검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통합사회 성취기준과 수행과제의 역량 적합성, 통합성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이 내용요소와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역량중심으로 진술되지 못하 였다. 둘째, 핵심역량-교과역량-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낮다. 셋째, 성취기준에 통합성 요건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넷째, 주제별 수행과제보다는 단원별 수행과제의 역량관련성이 높다. 다섯째, 인지적 영역의 역량을 요구하는 수행과제가 많으며 역량별 반영도에 큰 차이가 있다. 여섯째, 학습자 유용성, 교과 다중성, 교육과정 정밀성 요건을 충족시키는 수행과제가 부족하다. 따라서 교과 학습 과정이 곧 학생의 삶에 유용한 역량 습득 과정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통합사회’ 핵심역량 특성 분석을 위한 논의
1.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2. 성취기준과 수행과제
3. 분석 대상 및 기준의 설정
III.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핵심역량 특성
1. 통합사회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결과
2. 통합사회 교과서 수행과제 분석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