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학생 답안 분석 및 발전 과제 - 사회과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n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2016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 In Case of Geography Items of the Social Studies –

장의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irection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students’ answer sheets to geograph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answers varied and different than expected, including the ways of combinations of content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orrect answers and unexpected answers. The wrong answers are affected by the unclear understanding of concepts, inaccurate memory of concepts, and the complexity of evaluation ele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and developments in descriptive evaluation item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ssay items, the elements of the assessment should be clarified.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 should be refined to measure the overall thinking power. Second, in terms of short-answer item, specific examples of real life should be presented as questionnaires, not as a prior definition of concepts. Third, the information for analyzing student answers can be useful for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by achievement level. Therefore, the data should be processed and provided for easy use by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지리 영역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답안을 분석하고 향후 서답형 문항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답안 진술 양상 은 정답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 조합에 대한 경우의 수와 예상 밖의 답안 등으로 인해 문항별로 차이는 있지만 출제자의 예상보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오답군의 경우에는 개념의 명확한 이해와 개념어 또는 용어의 정확한 인출, 그리고 평가 요소의 복합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향후 서답 형 문항의 개선 및 발전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형 문항 출제의 측면에서는 평가 요소의 명료 화와 함께 종합적인 사고력 측정에 적합하도록 문항 구조의 정교화 작업이 출제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견지되 어야 한다. 둘째, 단답형 문항 출제의 측면에서는 개념이나 용어의 사전적 정의보다는 실생활의 구체적 사례 를 문항 자료로 제시해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향후 문항별 통계 정보와 분석 자료는 성취수준별 교수학 습 전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이므로 수업 활용에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가공 작업과 적극적 인 홍보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머리말
II. 분석 대상과 방법
III. 분석 결과
1. 서답형 1번 문항의 분석 및 시사점
2. 서답형 2번 문항의 분석 및 시사점
3. 서답형 3번 문항의 분석 및 시사점
I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의선 Jang, Eui Sun.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