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실과교육’ 연구 경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Smart Educational Competencies in Practical Arts Advanced Major Pre-Service Teachers in University of Education

황동국, 이건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related to practical art education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keyword were extracted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until October, 2017, and frequency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0.6% of the studies on Practic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words in the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Practical Arts (760),' 'Practical Arts (235)', 'Practical Arts Education (170)', 'Unit (117)' ti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of the 19 main words,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Life', 'Technology' showed a considerable influence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nection centrali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Practical (3,019)', 'Curriculum (772)', 'Living (697)', 'Technology (627)', 'Unit (577)'. 'Life', 'Learning', 'Practical education', and 'Unit' are high in the result of analyzing adjacent centrality. In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centralism, ‘Practical Arts’, ‘Curriculum’, ‘Practical art education’, ‘Unit’, and ‘Textbook’ were the key word with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centralism, and ‘Life’ frequency was relatively low but the centralality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clusters are formed centering on 'Practical art', 'Practical art education', and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고, 시사점 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10월까지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주요 단어를 도출하였고, 빈도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실과교육연구에서 80.6%가 발 표된 것으로 나타났고, 주요단어 빈도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핵심어에는 ‘실과 (760회)’, ‘교육과정(256회)’, ‘실과교육(170회)’, ‘단원(117회)’이었다. 둘째, 주요 핵심어들의 언 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과’, ‘교육과정’, ‘생활’, ‘기술’ 등이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상당 히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결 중앙성 분석 결과, ‘실과 (3,019)’, ‘교육과정(772)’, ‘생활(697)’, ‘기술(627)’, ‘단원(577)’, ‘학습(561)’ 순으로 나타났고, 인접 중앙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실과’, ‘생활’, ‘학습’, ‘실과교육’, ‘단원’ 등이 높게 나타났다. 위세 중앙성은 ‘실과(0.625)’, ‘교육과정(0.336)’, ‘실과교육(0.266)’, ‘생활(0.244)’, ‘기술(0.237)’ 순 으로 나타났다. 빈도분석과 중앙성 분석에서는 실과, 교육과정, 실과교육, 단원, 교과서가 출연빈도 와 중앙성이 높은 핵심어였고, 생활은 출연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중앙성이 높은 값을 보였다. 셋째,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과’, ‘실과교육’, ‘생활’ 등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절차
III. 연구 결과
1. 주요 핵심어 추출을 통한 빈도 분석
2. 언어 네트워크 특성 분석
3. 네트워크 지도 시각화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동국 Hwang, Dong-kuk. 한국교원대학교
  • 이건남 Lee, Gun-Nam.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