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pregna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in 284 pregnancy experienced adolescents aged 13-19 years. The suicidal ideation was 57.8%, the suicide plan was 37.7% and the suicide attempt was 37.3% among female adolescents with pregnancy experience.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regnancy had 1.44 times more suicidal ideation, 2.39 times more suicide plans, and 2.38 times more suicide attempts than those without suicidal thoughts, plans and attempts. Because of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pregnancy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in female adolescents, school and education authorities need systematic education and countermeasures to prevent adolescents' pregnancy and risk of suicide after pregnancy. And above all, convergent support and interest in home, school and community comprehensive area should be suppor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11년-2013년 청소년건강온라인행태조사에 응한 13세-19세 여학생 중 임신경험자 284명을 대상으 로 한국 여성 청소년의 임신경험 위험 요인과 임신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임신경험 군의 자살생각은 57.78%, 자살계획 37.7%, 자살시도 37.3%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임신을 경험한 여성 청소 년은 자살생각, 계획, 시도가 없는 군에 비해 자살생각 1.44배, 자살계획 2.39배, 자살시도 2.38배 증가된 교차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청소년기의 임신 경험과 자살행동은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청소년기 임신 예방과, 임신 경험 이후의 자살 위험 방지를 위해 학교와 교육 당국의 체계적 교육과 대처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무엇보 다 가정과 학교 및 지역사회 포괄적 영역에서 융합적 지원과 관심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임신 경험 유무에 따른 자살행동 비교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신경험
3.3 임신 경험에 대한 일반적 특성의 영향
3.4 임신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