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융복합적 관련성

원문정보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Work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al Hygienists

심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dental hygienists during sca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4 selected dental hygienists. A convergence study was implemented using questionnaire that was prepared to cove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are, the work of scaling, working posture an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s for data analysis, R 2.15.1 was employ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ate of good working posture during scaling stood at 29.9 percent; roughly good posture, at 37.5 percent; incorrect posture, at 32.6 percent. Regarding the area of the body in which they complained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houlders were 3.32-fold more mentioned than any other area(OR,3.32;95%CI, 1.58∼6.98); the foot, 2.97-fold more(OR,2.97;95%CI, 1.18∼ 7.48); the hands, 2.84-fold more(OR,2.84:95%CI, 1.35∼5.98); the neck, 2.82-fold more(OR, 2.82;95%CI, 1.35∼ 5.91); the back, 2.41-fold more(OR,2.41;95%CI, 1.02∼5.68).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good working posture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preventive programs and the preparation of sustained educational plans, and it's necessary in the future to make a research study by including psychosocial fa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시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과위생 사 26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치석제거 업무, 작업자세,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설문을 구성으로 융합연구 하였 다. 자료 분석은 R 2. 15. 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 시 올바른 작업자세는 29.9%, 대체적으로 올바 른 작업 자세는 37.5%, 올바르지 않은 작업 자세는 32.6%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의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부위로는 어깨가 3.32배(OR,3.32;95%CI, 1.58~6.98), 발은 2.97배(OR,2.97;95%CI, 1.18~7.48), 손은 2.84배(OR,2.84;95%CI, 1.35~5.98), 목은 2.82 배(OR,2.82;95%CI, 1.35~5.91), 등은 2.41배(OR,2.41;95%CI, 1.02~5.68)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올바른 작업 자세의 중요성을 제공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효율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추후 사회·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자세
3.2 건강행태에 따른 작업자세
3.3 치석제거 업무에 따른 작업자세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3.5 건강행태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3.6 치석제거 업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3.7 작업자세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심현주 Hyun-Ju Shim.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