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고에서는 만락헌(晩樂軒) 장석인(張錫寅)의 생애와 문학세계의 특성을 고찰 하였다. 장석인(1863-1938)은 금계 이근원의 문인이며 지사(志士)였다. 본 연구 에서는 만락헌이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인간관과 문학세계를 구축하고 있음에 주 목하였다. 특히 한시에 나타난 선비 정신은 사군자(四君子)와 학문에 대한 관심, 자손이나 친구에 대한 애정이 담긴 삶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었다. 아울러 난(蘭), 국(菊) 등 사군자가 그의 한시에 자주 등장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과 자손 교육, 교유 관계와 애국적인 삶의 모습이 그의 문학세계에 녹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석인의 한시에 나타나는 소재를 유형화해 보니, 사군자(四君子)를 소재로 하 는 작품이 많았다. 그의 시에 많이 등장하는 매(梅), 난(蘭), 국(菊), 죽(竹)에서 그 는 지조와 고결한 군자의 인품을 표상하였다. 또한 작품 속에서 학덕이 높은 성 현이나 인물들의 지조와 자신의 가치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의 문학세계는 내 면 성찰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덕성 함양과 선비정신이 삶의 방향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석인의 문학세계를 연구하는데 사용한 텍스트는 그의 작품집 『만락헌문집(晩 樂軒文集)』이며, 1999년 장성구의 한글번역서를 자료로 하였다. 본고는 그의 작품에 나타난 선비정신을 파악함에 있어 그 중 사군자 소재 한시 를 통해 그의 문학세계를 이해하고 미적 가치를 밝히고자 했다. 즉, 선비정신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만락헌의 시각을 토대로 그의 문학관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문학 세계의 특성과 문학적 위상을 구명(究明)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목차
1. 만락헌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2. 선비의 어원과 선비정신
2.1. 선비의 어원과 개념
2.2. 선비정신의 의미
3. 한시에 나타난 선비정신과 사군자
3.1. 국화
3.2. 난초
3.3. 대나무
3.4. 매화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