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질병 발현에 따른 제어불능차량의 운행 특성 분석

원문정보

류종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의 기어변환 방식은 대부분이 Auto transmission방식으로 변환되어 제작 판매된다. 운전의 편리성 때문에 만들어진 자동차의 자동기어 변환방식의 특성은 운전자가 운전제어능력이 상실되더라도 기계적 작동 상태를 멈추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이 오히려 2차적인 사고의 위험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고령화 되면서 운전자 의 연령 또한 고령화 되어 각종 질병에 노출되면서 예상치 못한 급격한 신체의 의식소실이나 운동능력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이러한 질병의 발현에 의해 운전자의 제어능력이 상실되어 단순히 기계적 능력에 의해 운행되어지는 자동차의 운행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의식상실이 있는 경우이거나 운동능력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자동차의 기계적 운행은 핸들제어나 급감속 혹은 급가속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의식소실어 있더라도 운동능력에 기능이 상실되지 않고 통증이 발현되는 경우의 사건에서는 급격한 가속이 형성되고 핸들조작이 이뤄진 뒤 조향이 고정되면서 2차 사고를 발생시키게 되어 2차 사고에 의해 운전자의 상해가 발생되기도 하는 현상이 분석되었다. 가속도의 변화 특성에서 유추할 수 있는 운전능력 상실에 대한 자동차가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질병발현에 의해 형성되어질 수 있는 2차사고 에 의한 인명 상실 확대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목차

초록
I.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운행상황 분석
1. 동영상 frame 분할에 의한 운행상황 분석
2. 제어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차량 운행 특성
Ⅲ. 결론 및 향후과제

저자정보

  • 류종익 류종익사고감정사사무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