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교육과정 한ㆍ일 비교 - 구성방향과 현행 유치원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is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he Configuration Direc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Kindergarten Curriculum

이성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transi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and compares and analyzes to view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curriculum ar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purpose and goal,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composed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current Nuri course has a standard for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Japan promotes the independent activities of infants and ensures that a life appropriate for infants is developed.In addition, Japan has introduced a new form of education that must be completed by the end of childhood in the current curriculum.Japan was initially teacher-centered, but the current emphasis is on "open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children's qualities and abilities to pioneer future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유치원교육과정의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변천과정에 대해 구성방 향을 탐구하고 현행 유치원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유치원교육과정을 조망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해나가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유아교육초기부터 지금까지의 구성방향의 특징. 둘째, 현행 우리나라와 일본의 유치원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 의 방향 및 유치원교육 목적과 목표, 편성과 운영․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차이점과 특색 비교 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유치원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현행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은 질서, 배려, 협력 등 기본생활습관, 바른 인성 및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르며 전인발 달을 이루고 교사와 아동의 적극적 반응에 의한 교육체제로서 민주시민의식을 기르기 위한 방 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일본은 유아기 특성을 포함하여 환경을 통해 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 며 유아의 주체적인 활동을 촉진하고 유아기에 적합한 생활이 전개되도록 하고 있다. 일본은 현행 교육과정에서 유아기 종료 시까지 갖추어야할 모습을 신규로 제정했다. 일본은 초기에는 교사중심이었으나 현행은 아동들이 미래사회를 개척하기 위한 자질과 능력을 더욱 확실하게 육성하고자 사회에 ‘열린 교육과정’을 중시한다. 그 외 한ㆍ일 간 공통점 차이점 등이 논의되었다.

일본어

本研究では、韓国と日本の幼稚園教育課程の初期から現在までの変遷過程について構成方向を 探求し、現行の幼稚園教育課程を比較分析し、韓国の幼稚園教育課程の内容と方向を眺望するも のである. 現行の韓国と日本の幼稚園教育課程の違いと特色については、教育課程の構成の方向と 幼稚園教育目的と目標、編成と運営․教授学習方法、評価を基準にした. 研究結果、韓国の幼稚 園教育課程は、時代的状況に応じて教育課程を構成しており、現行敎育過程は、指導計画の作 成、評価のための綿密な基準が適用されている. 現行ヌリ過程の構成の方向は秩序、思いやり、協 力などの基本生活習慣、正しい人性と自律性と創造性を育て全人発達を遂げて、教師と児童の積極 的な反応による教育体制として民主市民意識を育てるための方向に進んでいる。日本は幼児期の特性 を含む環境を介して行うことを基本とし、幼児の主体的な活動を促進し、幼児期に適した生活が展開さ れるようにしている。日本は児童が未来社会を開拓するための資質と能力をより一層確実に育成しようと 社会に‘開かれた教育課程’を重視する.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교육과정의 변천
  1. 우리나라 유치원교육과정의 구성방향 분석
  2. 일본의 유치원 교육요령 구성방향 분석
 Ⅲ. 2015누리과정과 일본의 2017년 유치원교육요령의 비교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한 Lee, Sung-Han. 고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