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액티브러닝교육의 평생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Implications of Japan's Active Learning in terms of Continuing Education

오민석, 이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of active learning as continuing education in the process of policy practice, from the view of local continuing education. The result shows that active learning in Japan enables individuals to find tasks in the current society and real life, to explore and practice learning in a subjective, interactive, and in-depth manner, and to express and practice lifelong learning outcomes to promote lifelong learning capability. The active lifelong as continuing education is based on "collective participation experience learning", which expects change from one-sided beneficiary of knowledge to communicative share; and realizes autonomous learning of individual through "circulating education of mutual communication". And it promotes local identity and community development, suggesting significance of local continuing education. This is sociopetal continuing education method for paradigm shift from objectivism to constructivism within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and it can be considered as rediscovery of the values of active learning as local continuing education, which brings vitality to one's(locally) life(mentall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역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액티브러닝의 정책추진과정 속에 드러난 평생교육적 함의를 탐색코자 하였다. 검토의 결과, 일본사회에서 액티브러닝은 개개인이 현 사회ㆍ실생활 속에서 과제를 발견하고, 그 해결에 대해 주체적ㆍ대화적ㆍ깊이 있는 배움의 탐구ㆍ실천하며, 나아가 배움의 성과 등을 일생에 걸쳐 표현ㆍ실천할 수 있는 평생학습력 증진을 육성코자 하였 다. 이러한 액티브러닝의 평생교육실천은 지식의 일방적 수혜자에서 의사소통적 공유자로의 변화를 기대하는 “집합적 참여경험학습”과, 사회적 지성 배양을 위한 “상호소통의 순환교육”을 통해 개인의 주체적 배움을 구현화 함은 물론, 지역 정체성 및 공동체 육성을 촉진시킨다는 점 에서 지역평생교육의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지역 내 관계성 속에서 객관주의에서 구성주 의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도모한 상호집합적(sociopetal) 평생교육방법으로써 자신(지역)의 생활 (정신) 활력의 원동력이라는 액티브러닝의 지역평생교육 가치의 재발견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성과 사회성 간의 조화, 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사회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제언하였다.

일본어

本研究では、地域生涯教育の視点から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の政策推進過程のなかで現れた生涯教 育的含意を探索しようとした。検討の結果、日本社会における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は個々人が現代社会 ㆍ実生活の中で課題を発見し、その解決に対し主体的ㆍ対話的ㆍ深みのある学びの探求ㆍ実践し、さ らに学びの成果などを一生涯にわたって表現ㆍ実践できる生涯学習力の増進を育成しようとした。こうした 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の生涯教育実践は、知識の一方的受益者からコミュニケーション的共有者への変 化を期待する「集合的に参加経験学習」と、社会的知性培養のための「相互疎通の循環教育」を通じ て、個人の主体的な学びを具現化するのはもちろん、地域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共同体の育成を促進させる という点で、地域生涯教育の意義をもっていた。これは、地域内の関係性の中で、客観主義から構成 主義へのパラダイム転換を図った相互集合的(sociopetal)生涯教育方法として、自分(地域)の生活 (精神)活力の原動力という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の地域生涯教育の価値の再発見といえる。これらの結 果をもとに、本研究では、個人性と社会性との間の調和、連携及びネットワーク構築、そして全社会の 持続可能性を提言した。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액티브러닝의 등장과 그 개념
  1. 액티브러닝의 등장
  2. 액티브러닝의 다양한 개념
 Ⅲ. 교육정책 속 액티브러닝의 전개
  1. 지식 틀의 전환
  2. 평생학습력의 증진
 Ⅳ. 주체적 참여학습
  1. 액티브러닝의 평생교육실천
  2. 집합적 참여경험학습
  3. 상호소통의 순환형 교육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오민석 O, Min-Suk. 아주대학교
  • 이지연 LEE, Ji-Yeon.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