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三陟營將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Samcheok-youngjang in Late Joseon

조선후기 삼척영장 연구

서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amcheok-youngjang(삼척영장) of Kangwon-do(강원도),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newly established at 1672(Hyeonjong 현종 13) and existed until 1895(Gojong 32). The Samcheokyoungjang was the only dispatched commander in Kangwon-do and held two positions of Topo-sa(토포사) and SuguncheomJeoljesa( 수군첨절제사). For the number of 221 of Samcheok-youngjang, the period of King Yeongjo(영조), who had longest ruling years, had 60 which marked highest number and the period of Gojong(고종) has 42 which marked second highest. For the terms of holding their office, more than 15 months were 65 Samcheok-youngjang, and more than 10 months and less than 15 months were 65 also, and less than 10 months were 56. And for 8 Samcheokyoungjang, the terms of holding their office were not known, and the persons being appointed to the Samcheok-youngjang but not taking the office were 27. According to the 󰡔Daejeontongpyeon (대전통편)󰡕 in Jeongjo(정조) period, in case that a person who was already in a position higher than Jeong-sampum(정삼품) Jeolchung (절충) and received a appointment for Young-jang, the person could move his office after 10 months, and in case that the person became a Jeolchung newly, then he could 15 months later. Among 221 Samcheok-youngjang, the reasons of the office replacement were known for 160 persons, and the reasons of 27 cases of replacement before taking the office were, '11 cases due to the age of their parents' old age over than 75, 9 cases due to the serious illness of their parents or themselves, and 7 cases due to the office exchange, by taking the office in central region, and staying at the existing office etc.' The reasons of replacement of 133 Samcheok-youngjang who took the office are '94 persons due to taking other office(86 were appointed to the offices in central region, 8 were appointed to local area offices), 38 due to misbehavior in performing duty, and 1 due to illness' etc. The Samcheok-youngjang exclusively charged the military training and inspection etc. of 9 towns in Yeongdong(영동) area. Along with these, the Samcheok-youngjang had another position of Topo-sa at 1673 to correct the problem that there were a lot of thieves in Yeong-dong, Kangwon-do area, though the Chuncheon-busa(춘천부사), who was Topo-sa at that time, was in long distance, but because the reward and punishment was decided according to how he could handle thieve matter, the negative effect that Young-jang falsely charged good citizens as thieves occurred. The Samcheok-youngjang held the position of Sugun-cheomJeoljesa, this function of the naval defence of the Samcheok-youngjang was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at of other Young-jang. Particularly it is noticeable that the Samcheok-youngjang became a Uleung-do(울릉도) Sutogoan(수토 관) by turn with Wolsong-manho(월송만호) from 1694(Sukjong 숙 종 20) and blocked Japanese's illegal fishing and logging while clearly letting them know that Uleung-do was Joseon's territory.

한국어

조선후기 강원도 삼척영장(三陟營將)은 1672년(현종 13) 신설되어 1895년까지 (고종 32) 존속하였다. 삼척영장은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파견된 영장으로, 토포사 (討捕使)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를 겸임하였다. 삼척영장 약 221인의 왕대 별 수는 재위기간이 가장 길었던 영조대가 60인으로 가장 많았고, 고종대가 42인 으로 두 번째였다. 삼척영장의 재임기간은 15개월 이상 및 10개월 이상 15개월 미 만이 각각 65인이었고, 10개월 미만이 56인이었다. 아울러 8명은 재임 기간을 알 수 없었고, 삼척영장에 임명된 후 부임하지 않은 경우도 27인이나 되었다. 영장은 정조 대 󰡔대전통편󰡕에 의하면 정3품 절충(折衝) 이상의 자급을 이미 받은 상태에서 영장 이 된 경우는 10삭 후에, 영장이 되면서 새로 절충을 받은 경우에는 15삭 후에 직 책을 옮길 수 있었다. 삼척영장 221인 중 160인은 교체사유를 알 수 있었는데, 부 임하지 않고 교체된 27인의 사유는 ‘11인은 부모가 75세 이상, 9인은 부모나 본 인의 병이 중함, 7인은 상환(相換)·내천(內遷)·유임 등’이었다. 부임한 삼척영장 133인의 교체사유는 ‘94인(내천 86인, 외천 8인)은 벼슬자리 옮김, 38인은 직무수 행 잘못, 1인은 본인의 병’ 등이었다. 삼척영장은 영동 9개 읍의 군병 조련과 점 검 등을 전담하였다. 아울러 강원도 영동에 도적이 매우 많으나 토포사인 춘천부 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삼척영장은 1673년 토포사 를 겸임했었는데, 치도(治盜)와 관련하여 영장의 상벌(賞罰)이 결정되었으므로 양 민(良民)을 도적으로 몰아버리는 폐단 등이 발생하였다. 삼척영장은 수군첨절제사 도 겸임하면서 바다 방어도 담당하였는데, 이러한 삼척영장의 해방(海防) 기능은 다른 영장과 구별되는 특징이었다. 특히 삼척영장은 1694년(숙종 20)부터 월송만 호와 교대로 울릉도 수토관(搜討官)이 되어,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인에게 확실히 알리면서 그들의 불법적인 어로행위나 벌목 등을 차단한 점이 주목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강원도 영장의 설치·변천과 三陟營將의 설치
 Ⅲ. 삼척영장의 재임기간과 교체사유
  1. 왕대별 삼척영장의 성명과 재임기간
  2. 왕대별 삼척영장의 교체사유
 Ⅳ. 삼척영장의 기능
  1. 군병의 조련과 점검
  2. 도적의 체포
  3. 울릉도 搜討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태원 Seo, Tae won. 목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