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산 류병덕의 남북 통일과 평화 철학

원문정보

Yeosan Ryu Byeong-Deok’s Philosophy on the Unification of South-North Koreas and Peace

원영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ace philosophy of Ryu Byeong-deok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As well as the Won-Buddhist studies, he established the religious studies of Korea, and further engaged in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 the circles of philosophy, religions, and culture, so that his life was intelligence in action. Above all, he strived to establish the Il-Won philosophy which is the core of the Won-Buddhist thought. He elucidated that Won-Buddhism had all thoughts inter-fused and communicated, and illuminate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that are original to the Korean nation. At the same time, he explained that it is a reformed Buddhism which succeeded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at were traditional world views in East Asia. His peace philosophy has a deep relation with such Il-Won philosophy. Ryu Byeong-deok viewed Eastern Learning (tonghak), the Right Change (chŏngyŏk), Jeungsan-ism, Taejonggyo, and Won-Buddhism as the five great streams of modern general-people’s philosophy, locating them in the realm of Korean philosophy. He also took them as forming a core philosophy to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r. He thought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se ‘general-people’s religions (minjung chonggyo)’ was devoid of any element that worshipped the powerful that is dependent on a foreign power, and accordingly he saw them as forming a way of thinking that led to lead an independent reunification. In a word, it was the type of unification whereby the national identity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entiments of general people that were native to South and North Korea. In addition, he thought the unified nation should be characterized as being a neutral country based on such independent traits. Ryu Byeong-deok thought about the common points of those five religions of ‘general people (minjung)’ in four ways. First, they shared a historical awareness of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Day (huch’ŏn kaebyŏk)’; second, they started as a general people’s religion; third, they were founded on indigenous Korean national thoughts; fourth, they are not based on a notion of national expansionism or exclusive nationalism. The reasons that these five streams, according to him, serve as the foundation of the peaceful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re as follows: that the general people were awakened by themselves already before the division; that the founders of the religions awakened to the great Way and truth with self-power and spoke aloud to the world; that they tried to establish a new set of morals and order in the world of oppressed general people; that they resisted the royal authority of a feudal autocratic system; they showed an independent strength to fend off foreign powers; and that they won the people’s hearts and showed a determination to engage in reform. Ryu Byeong-deok understood that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r should take place in the context whereby general people find a historical solution to real problems and issues that they face. In sum, he believed that the dialectics of life constituted by the concession and harmony of the East, that are common to these five great general-people’s religions, could proceed to the dialectics of production and life, and that based on such thoughts, a new way of peaceful reunification would be opened.

한국어

본 논문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류병덕의 평화철학 사상을 규명한 것이다. 원불 교학은 물론 한국의 종교학을 구축하고, 나아가 철학계, 종교계, 문화계 등에서 폭넓게 활동한 그의 삶은 행동하는 지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무엇보다도 원불 교사상의 핵심인 일원철학(一圓哲學)을 구축하고자 했다. 원불교야말로 모든 사상 을 원융회통시키고, 민족의 근원적인 종교성을 밝히는 동시에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 유불선 사상을 계승한 개혁불교임을 밝혔다. 평화철학은 이러한 일원철학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류병덕은 동학, 정역,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를 근대 민중철학의 5대맥으로 보 고, 한국철학의 한 분야로 위치 지었다. 또한 이를 한반도의 평화를 확립하는 핵심철학으로 삼았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이들 민중종교는 외세에 의존하려는 사대성이 없었다는 점, 따라서 자주적인 통일을 이끌어 줄 사상으로 보았다. 한 마디로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남북 공통의 민중의 심성에 기반한 통일이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일국가의 면모는 이러한 자주성에 바탕한 중립 국가가 되 어야 할 것이라고 한다. 류병덕은 이들 5대민중종교의 공통점을 네 가지로 든다. 첫째는 후천개벽의 역 사의식, 둘째는 민중종교로서 출발했다는 점, 셋째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 깔려 있다는 점, 넷째는 국가팽창주의이거나 폐쇄된 민족주의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 리고 이 5대맥이 남북평화통일의 기조가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분단 이전에 이미 자주적으로 민중들을 깨우쳤다는 점, 교조들 스스로 자각된 힘으로 대도와 진리 를 깨치고 세상을 향해 외쳤다는 점, 억눌린 민중 세계에서 새로운 도덕과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다는 점, 봉건전제체제의 왕권에 항거했다는 점, 외세를 막아 내고 자 하는 주체적 힘을 보여주었다는 점, 민심을 수습하며 개혁의 용단력을 보여주 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류병덕은 한반도 통일은 이처럼 민중의 역사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보았 다. 총체적으로 보았을 때, 이들 5대민중종교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동양의 양 보와 조화의 생명의 변증법은 생성의 논리와 생명의 변증법으로 나아갈 수 있으 며, 이러한 사상에 기반 했을 때 새로운 평화통일의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시작하는 말
 Ⅱ. 류병덕의 한반도 분단과 통일에 대한 인식
 Ⅲ. 류병덕의 평화 철학
 Ⅳ. 류병덕의 평화 철학과 한반도 평화 구축
 Ⅴ. 맺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원영상 Won Yong-Sang.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