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Theological Reflection on Mission Field Research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초록
영어
Most significant for mission is the fact that mission takes place at the field. Needless to say, mission field research is essential to mission; and yet admittedly the mission field research has been largely neglected, if not despised, in the practice of Korean mission. In the last century, landmark mission field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which led to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thought and practice of mission: for example, the reports of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in Edinburgh in 1910, the publication of Re-thinking Missions, and the rise of Missionary Statistics, the mastermind of which was David B. Barrett. As a result, the mission field research gradually came to take firm hold in mission as a mission work sui generi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help activate the work of the mission field research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ereafter PCK), by examining its theology and strategy of mission, which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mission field research. In doing so, this article in the first instance investigates the perspective of mission,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field research,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representative ones, traditional and ecumenical;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ummarizing the perspective of mission of the PCK.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items which must be included to make a reliable report of mission \field research, rather than providing the ways in which one can prepare the report format in details. Regarding mission field, this article lists the items such as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field (the general and Christian information of the field, and the list up of available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of Christianity in the field (the history of the fiel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field, and the ecumenical context of the field). As regards mission organizations, it enumerates the mission organizations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s, and centralization vs de-centralization), support systems (the identity of the support systems, and the “contextualization value” vs the “ecclesiology value”), field stations (the identity of field stations, and the mapping of the field), and missional workers (the identity of missional workers, and their life and work).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article will be conducive to making the official report format of the mission field research for the PCK and many others.
한국어
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현장성이다. 따라서 선교현장조사는 선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이제까지 소홀히 해온 것도 사실이다. 지난 20세기에는 역사적 이정표가 되는 선교현장조사가 이뤄졌는데, 가령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 보고서, 『선교의 재고』 보고서, 데이비드 바렛의 선교통계학의 대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선교현장조사는 선교의 사상과 실천을 바꿀 만큼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최근에는 선교현장조사 자체가 선교사역의 중요한 영역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의 선교현장조사를 위하여, 그것의 전제가 되는 선교신학과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선교현장조사는 먼저 그 토대가 되는 선교관을 이해해야 하는데, 크게 전통선교적 입장과 에큐메니칼선교적 입장을 들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현장조사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서 구체적인 작성법이나 세부사항을 제시하기보다 보고서 작성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목을 간추려보았다. 선교현장에 대해서는 선교지 일반 상황(일반 및 기독교 정보, 정보 목록 작성), 선교지 기독교 상황(선교지 역사, 선교지 현황, 선교지와 에큐메니칼적 맥락) 등을 지적했다. 또한 선교기관에 대해서는 선교기관(선교기관의 정체성, 중앙집중화와 탈중앙집중화), 후원구조(후원구조의 정체성, 교회론적 가치와 상황화적 가치), 현지(현장)선교회(현지[현장]선교회의 정체성, 선교 지도 작성, 사역의 입구전략에서 지속전략까지), 선교사(선교사의 정체성, 생활과 사역) 등을 지적했다. 본 논문의 제안은 대한예수교장로회가 실제 보고서를 작성할 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는 대한예수교장로회뿐 아니라 다른 선교기관도 상황에 맞춰 원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선교, 현장, 선교현장조사
II. 선교현장조사의 토대가 되는 선교관, 그 다양한 입장들
III. 선교현장조사에서 반드시 고려할 요목들
I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