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영성지도의 역사 : 영성지도자의 정체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History of spiritual Direction : concentrating on the identity and role of spiritual director

김경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history of spiritual direction, especially focusing on issues of identity and roles of the spiritual director. By tracking spiritual direction’s progression from its humble desert tradition origins to the contemporary model that dictates modern-day discourse, this article sets out to help further understanding of seemingly simplistic yet highly complex questions of who spiritual directors are, what their presence gives rise to, and their ultimate impact. This research also serves as a reminder of shared perceptions concerning spiritual directors, all the while examining distinct changes across traditions and through the ages. Only by truly understanding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at have given rise to the modern age spiritual direction can we begin to inquire, and subsequently understand, the qualifications and attitudes that today’s spiritual directors ought to hold. Spiritual direction, which began in earnest from the early Christian traditions of searching for spirituality in the deserts, derives itself from ‘abba’ and ‘amma’, each a spiritual teacher. The precedent of ‘abba’ and ‘amma’ became a foundation for shared perceptions of the identity and role of the spiritual director, these outlooks shaping a narrative of such that the director is one who can help others grow and flourish with their inner charisma and talent, experience and learning of spiritual life. It is thus imperative that the spiritual director be highly sensitive to the Spirit’s work in order to aid the path of the directee. On the other hand, each era shows a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understanding towards the role of spiritual directors. Spiritual direction of the modern day, as opposed to earlier forms, has shown a change between spiritual director and directee into one that is more bilateral than prescriptive in its relationship dynamics. Furthermore, what was once a ministry fixated just on the pursuit of strict asceticism now also seeks the spiritual growth of lay people in their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attitudes toward spiritual guides have shifted. Absolute obedience to the commands of one’s spiritual teacher was once an unspoken expectation, but over time, a teacher’s worth has come to stand not on his or her mere position, but on what he or she can contribute to a directee’s spiritual path. This is not to say that charisma of spiritual directors has always been appreciated; in fact, there once was a time when the strict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vershadowed individualism, but with the increasing inclusion of lay people into the ministry, the modern model of spiritual direction has newly illuminated the director’s inner charisma. The current trend in South Korea is that of a newfound interest among lay people in spiritual enlightenment and a subsequent desire among this demographic of becoming spiritual directors, both of which highlight an importance in examining this expanding phenomenon. Spiritual direction of today ought to combine a blend of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forms to help those wishing to seek spiritual growth to find a personalized method by which they can truly find their own path. Thus, the need for spiritual directors who are balanced in both charisma and discipline is like that of no other period we have seen.

한국어

본 논문은 영성지도의 역사에 대한 연구로서 영성지도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초기 사막 전통에서부터 현대 영성지도에 이르기까지 영성지도의 역사를 개관하면서 영성지도자는 누구이고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오랜 영성지도 역사에도 불구하고 영성지도자에 대한 공유된 인식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각 시대와 전통에 따라 특징적인 변화의 모습도 보여준다. 초기 기독교 사막의 영성 추구전통에서 시작된 영성지도는 사막 수도자들의 스승으로 알려진 압바(abba)와 암마(amma)라는 영성지도자 모델을 갖고 있다. 영성지도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압바와 암마 전통은 영성지도자의 모범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영성지도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공유된 인식의 근거가 된다. 영성지도자는 내적 은사와 경험, 학식과 소질을 가지고 기도와 영적인 일에 관해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이다. 따라서 성령의 활동에 민감하며 영적 분별력을 가지고 피지도자의 선택과 결정을 도와야 한다. 한편, 초기 영성지도에 비해 현대의 지도자와 피지도자 관계는 권위적이기 보다는 상호적 관계로 발전되었고, 수도자 양성 중심에서 평신도의 영적 성장을 돕는 사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초기의 영성지도가 지도자 자체에 대한 신뢰와 순종이었다면 오늘날에는 영성지도자의 역할, 즉 분별력과 판단력을 존중한다. 지도자의 은사가 중요했던 초기 영성지도는 수도원제도와 규칙에 의존한 영성지도의 시기를 거쳤다. 그러나 평신도들의 영적 추구와 평신도 영성지도자의 사역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대에는 다시 은사중심의 영성지도가 강조된다. 따라서 성직자냐 평신도냐가 아니라 영성지도자의 은사와 사역의 열매가 영성지도의 중요한 미덕으로 간주된다. 평신도 영성지도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는 한국의 영성지도 현장에서도 은사중심의 영성지도가 재조명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 모델과 현대적 모델의 상호 보완을 통해 영적 여정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갈망에 다양하게 응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오늘의 시점에서 은사와 훈련이 잘 조화된 영성지도자들의 탄생과 활동을 기대해본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사막교부와 동방교회의 영성지도
 III. 서방 교회의 영성지도
 IV. 현대 영성지도: 영적 동반자
 V. 종교개혁 교회 전통의 영성지도
 VI.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은 Kyung Eun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조교수(실천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