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혐오를 넘어서

분노의 서사시, 연민의 서사시 『일리아스』

원문정보

The Iliad, the Poem of Wrath and Pity

이준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interest among Homerists in the poetic qualities has shown us that the wrath and pity of the hero plays a considerable role in the Iliad.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hero’s wrath does not abruptly give way to pity. Instead, his emotional change and recurring identifications between enemies go side by side. One cannot fail to notice a series of identifications between Achilles and Hector, Hector and Patroclus, and Achilles and Priam. My observation naturally leads to the existence of one master mind who conceived the whole poem with his own coherent poetics of humanity.

한국어

20세기 중반 이후,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이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동정심에 관한 연구를 축적해왔다. 이 논문은 이를 바탕으로, 아킬레우스의 정서가 분노에서 동정심으로 갑자기 전환된 것이 아니라, 자신과 원수, 그리고 벗과 원수 사이의 끊임없는 동일화를통해 섬세하게 준비된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특히 주목해서 관찰할 대상은 아킬레우스와 헥토르, 헥토르와 파트로클로스, 그리고아킬레우스와 프리아모스이며, 이를 통해 일관된 시학을 바탕으로섬세하게 시 전체를 계획해낸 한 사람의 시인을 상정하고자 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아킬레우스와 헥토르
  2.1. 죽음을 상징하는 무장
  2.2. 추격자와 도망자
  2.3. 이어지는 보복과 자기파괴
 3. 헥토르와 파트로클로스
  3.1. 임박한 운명을 알지 못하는 두 사람
  3.2. 서로를 닮은 죽음
  3.3. 죽음 이후
 4. 아킬레우스와 프리아모스, 그리고 파트로클로스
  4.1. 상징적인 죽음의 공유
  4.2. 서로의 상실을 품고 만나다
  4.3. 프리아모스와 파트로클로스
 5. 맺는 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석 Lee, Joon Seo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