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출처론(出處論) 연구 - 병자호란 직후 김상헌 처신 논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ew of Chul-Cheo - Focused on the Dispute over Kim Sang-heon’s Conduct immediately after Byungjahoran -

김준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view of Chul-Cheo and the phase of its conversion, focusing on the dispute over Kim Sang-heon’s conduct. Chul-Cheo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entry into public life and retirement. In that the realization of Tao was set as the ultimate goal and that Confucius and Mencius proposed the criteria, it seems to be an absolute concept, but Chul-Cheo is relative. The judgment on whether it is a situation in which one can practice Tao and what justice one should pursue at this point in time differs depending on the person. The final decision of Chul-Cheo is mad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ntrol. Kim Sang-heon’s case shows the relative character of this view of Chul-Cheo. Along with this, the case of Kim Sang-heon shows that the basic perception about Chul-Cheo was changing i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Until Byungjahoran(Manchu Invasion of Korea), with only a few exceptions, Confucian scholars emphasized ‘Chul’ rather than ‘Cheo.’ However, after Byungjahoran, he preferred ‘Cheo’ to ‘Chul’ and tended to emphasize the fidelity to Tao (truth) fidelity beyond the loyalty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As the civilization order symbolized by the Ming Dynasty collapsed and the Joseon Dynasty surrendered to the Qing Dynasty, he judged that the world came in which he could not realize Tao. He did not think either that he would need to enter government service that had lost legitimacy and authority. That Kim Sang-heon’s conduct became the target of ‘dispute’ instead of ‘criticism’ shows the conversion of perception. This is important in that it will affect the Sallim’s political stance subsequently.

한국어

본 논문은 병자호란 직후 김상헌이 보여준 처신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출처론(出處論)의 성격과 전환양상을 분석했다. 출처는 관직에 나가고 물러나 은거하는 것을 합쳐 부르는 말로서 당사자의 가치관과 현실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가 도의 실현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전제하고, 공자와 맹자가 출처의 기준을 제시한 바 있지만, 그에 대한 최종결정은 개인의 주관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를 시행할 수 있는 환경인지의 여부, 현시점에서 추구해야 할 의(義)가 무엇인지에 대한 판단은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김상헌의 사례는 이와 같은 출처론의 상대적인 성격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김상헌의 사례는 출처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기본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만 해도 일부 예외적인 인물을 제외하면, 유학자들은 ‘처’보다 ‘출’에 방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병자호란을 겪으며 ‘출’보다 ‘처’를 선호하고 군신(君臣)의 의리 이상으로 도의(道義)에 대한 절의를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명나라로 상징되는 중화문명이 붕괴하고 조선이 오랑캐에게 항복함으로써 도를 펼치기 힘든 세상이 도래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통성과 권위를 잃은 조정에 출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김상헌에 대한 처신이 ‘성토(聲討)’가 아닌 ‘논쟁’의 대상이 된 것은 이러한 인식 전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후 산림(山林)의 정치적 입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출처론의 형성
 3. 병자호란 이전 조선 유학자들의 출처론
 4. 병자호란 직후 김상헌에 대한 출처논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준태 Kim, Jun Tae. 성균관대 한국철학ㆍ인문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