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s of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through Social Media on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lderly Stigma

안순태, 강한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ffect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In particular,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adults aged 18 to 64,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verified. That is, negative vicarious contact increased perceived elderly stigma which, in turn, elevate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which verified the impact of traditional media contents on formation of elderly stigma and discrimination toward the elderly, and suggest that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duce elderly stigma is also needed on social media.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 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소셜미디어상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노인 낙인과 노인차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단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노인 낙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접촉이 노인에 대한 낙인형성을 통해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나타낸다. 연구결과는 그동안 전통미디어의 노인 관련콘텐츠가 노인 낙인 및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노인 낙인 감소를 위한 소통 방안이 소셜미디어상에서도 필요함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논의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노인 이미지
  미디어상에서 재현된 이미지가 특정 대상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 차별에 미치는 노인낙인의 매개효과
  노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가설 및 모델
 연구방법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측정변인
 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순태 Soontae An.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 강한나 Hannah Kang.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박사후과정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