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석도(石濤)의 심(心)의 미학

원문정보

A study on mind in Shitao’s aesthetics

장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re ideology of Shitao resides in the Mind. One-stroke theory, his main concept, is discussion on the Mind ultimately. He considered it as 'Single-stroke' originated from the Mind that thinks of all things in a body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ll things. Besides, the Mind is used as various meanings. For example, 'Brush and Chinese ink', 'the Way of Nothingness and the Way of Being or Doing', 'Tradition and Creation of Art',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Me' wer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aesthetics in Shitao, but all of which are discussions related to the Mind. Period from Late Ming Dynasty through Early Qing Dynasty when Shitao lived was that the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lik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as most deepened. His ideology of the Mind was affected by all the characteristic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Shitao has developed his unique theories on his own, not simply accept the existing School of Mind synthetically. Accordingly, his School of Mind has originality in his own way. From the characteristics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he emphasized the Mind as recognition which takes and judges things as they are. Second, he emphasized the free Mind which could not be tied in any constrains. Third, he emphasized the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Me'. Fourth, he emphasized the Mind as non-duality which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is united harmoniously. As above, Shitao thought that it needed to pursue very liberal spirit of art escaping from the fixed form or bound by tradition. He thought that it required tolerance or generosity, not exclude the difference from me. In addition, he thought that it needed to be un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each other, not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object unilaterally.

한국어

석도의 핵심 사상은 심(心)에 있다. 그의 중심개념인 ‘일획론(一劃論)’도 궁극적으로는 심에 대한 논의이다. 즉 ‘일획’은 모든 만물의 근본원리로서 만물을 일체로 여기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그 외에도 심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필(筆)과 묵(墨)’, ‘무법(無法)과 유법(有法)’, ‘전통과 예술창작’, ‘나와 대상 간의 소통’은 석도 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였는데, 이들 모두 심과 관련된 논의들이다. 석도가 살았던 명말∼청초 때에는 유ㆍ불ㆍ도 삼교합일의 성격이 가장 심화된 시기였다. 그의 심의 사상역시 유ㆍ불ㆍ도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석도는 단순히 기존의 심학을 종합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론을 전개해나갔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을 받아들이고 판단하는 인식으로서의 심을 강조했다. 둘째, 일체의 속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심을 강조했다. 셋째, 나와 대상 간에 소통하는 심을 강조했다. 넷째, 대립적인 것들이 조화롭게 통일된 불이(不二)로서의 심을 강조했다. 이와 같이 석도는 일정한 형식이나 전통의 얽매임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예술정신을 추구하며, 다른 것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널리 포용하며, 대상과 서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심과 유ㆍ불ㆍ도
 Ⅲ. 심의 특징
 Ⅳ. 심과 미학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선아 Chang, Seon A. 단국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