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양문화에서 노경(老境)의 미 - 긴바라 세이고의 노(老) 개념을 실마리로 -

원문정보

Beauty of 'Stage of the Aged' in Eastern Culture

민주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for reasons in the wisdom of the East to support the value of "the aged" in the light of a new correction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old age. In Eastern thought and art, people have respected the value of the aged for a long time. While considering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concept of the aged, I would like to find out that there could be a so-called "aesthetics of stage of the aged" in Eastern art. To this end, I have discussed the conceptual system of the aged, taking Kinbara Seigo's writings on the aged as the clue. Although his chapter on the aged was very short, I was able to confirm the scalability of the concept by organizing the contents he mentioned intermittently. While looking at various aspects of the aged such as physiology, philosophy, psychology, form, and beauty, we became aware of the spirit of its forming a large stem in Eastern thought and art. The aged is backed up by the principles of intelligence, nothingness, contemplation, bone structure and deep simplicity. As the aged gives back the body to nature, his passion has cooled and he has become smarter and cleverer. The attitude of getting a taste of the eternal atmosphere of heaven and earth from a rock and a glimpse of the taste of infiniteness at a moment is truly the beauty of the aged. The Eastern culture respected eternal aging, while the Western respected eternal youth. The East appreciated prudence and the West appreciated liking desire. The principal principles of Chinese painting, spiritual energy and bone structure, are also derived from the stage of the aged and the beauty of "calmness" and " simplicity " are also achieved from the stage of the aged. Based on our deep understanding of the aged, we can get the wisdom to live a beautiful life.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노년에 대한 부정적 관념과 시선을 새로이 교정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동양의 지혜에서 찾아볼 것이다. 동양의 사상과 예술에서는 오랜 동안 ‘노(老)’의 가치를 존중해 왔다. 노 개념의 논리적 구조를 고찰하는 가운데, 동양예술 속에 이른바 ‘노경(老境)의 미학’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긴바라 세이고가 동양미론에서 언급한 노(老)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아 노 개념의 의미체계를 고찰해 보았다. 비록 그가 노를 논한 장은 아주 짤막했지만, 필자는 그가 산발적으로 언급한 노에 관련된 의미를 구조화 해 봄으로써, 이 개념의 확장성이 매우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의 다양한 측면들, 이를테면 생리, 철리, 심리, 형태, 심미의 차원을 살펴보는 가운데, 동양의 사상과 예술에서 커다란 줄기를 형성하는 정신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노는 총명(聰明), 무(無), 관조(觀照), 골법(骨法), 심간(深簡)의 원리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노는 육체를 자연 속으로 환원하는 가운데 기욕(嗜慾)이 식어 사라져 총명(聰明)이 생기게 된 경지이다. 돌덩어리 하나에서 천지의 다함이 없는 정취를 맛보고, 스쳐가는 한 순간에서 무궁한 취미를 얻는 태도, 진실로 이것이 노경의 미이다. 서양이 영구한 젊음을 존중하는데 대하여 동양은 영구한 늙음을 존중하고, 서양이 기욕을 존중하는데 대하여 동양은 염담(恬淡)을 존중한다. 이러한 특징은 동서양 문화의 상위인 동시에 동서양 미술의 상위이기도 하다. 동양화의 으뜸 원리인 기운(氣韻)과 골법(骨法)도 노의 경지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평담(平淡)과 간소(簡素)의 아름다움도 노의 경지에서 성취된다. 노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게 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노(老)’의 가치
 Ⅱ. 노의 생리(生理): 총명(聰明)
 Ⅲ. 노의 철리(哲理): 무(無)
 Ⅳ. 노의 심리(心理): 관조(觀照)
 Ⅴ. 노의 형태(形態): 골법(骨法)
 Ⅵ. 노의 심미(審美): 심간(深簡)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주식 Min, Joosik. 영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