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後期 書論의 陰陽對待觀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ew of the Cor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of Calligraphic The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조선후기 서론의 음양대대관 연구

김윤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alligraphy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med a unique calligraphic style through studies on the old law 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a result, the writing of calligraphic theory including criticism about calligraphy was actively conducted, which means that calligraphy began to be considered as an academic concept. The calligraphic theory of this period includes many discussions about calligraphy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Since Yin and Yang influence each other, they function to change. In addition, such a cor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means the Way as the fundamental discipline of the birth and death of all things,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o the concept of Movement and Stillness, Hardness and Softness, and Rightness and Opposition. From the view of the cor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the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re revealed as the correl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cience and Art, Old and New, and Calligraphy and Calligrapher as below. First, there was a move to unify science and arts, and especially Kim Jeonghui and Jo Huiryong had the tendencies of unifying science and arts. They respected ‘Spirit’ which represented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Yin and Yang, and argued that calligraphy should be expressed based on ‘Equilibrium’. In this regard, they showed the tendencies to unify science and arts and the world view of enlightenment, which aimed at respecting ‘Spirit’ that was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Yin and Yang and realizing ‘Equilibrium-Harmony’ in calligraphy. Second, there was an attitude of respecting life through the perception of cyclical time and birth and death. It also show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lif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Great Ultimate to Yin and Yang and the principle of unification. Based on this, we can see the artistic view of life that emphasizes the vitality and the change in calligraphy. Third, there was an attitude of respecting the law and the old as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nature, and it has been shown to respect the human image to learn the old and to cultivate himself by considering that there was a thread of connec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ased on this, it was manifested in the spirit of creation, which was constantly exploring the old and trying to achieve new things. Such an attitude was revealed as a creation view of the mutual complement which aimed at the spirit that calligraphy was expressed by the calligrapher’s personality and the spirit of emulating the old and creating the new.

한국어

조선후기의 서예는 고법과 서예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적인 서풍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서예에 대한 이론과 비평 등 書論의 집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는 서예를 학문적 개념으로 사유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시기의 書論에는 陰과 陽의 對待관계를 바탕으로 서예를 논한 것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陰과 陽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變化를 이루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陰과 陽의 對待관계는 천지만물이 생멸하는 근본 규율로서의 道를 의미하며 動과 靜, 剛과 柔, 正과 反 등으로 무수하게 치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陰陽對待觀이 조선후기 서론에서는 學과 藝, 古와 新, 書와 人 등의 對待적 특징으로 드러났으며 그 대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과 예술을 일치시키려는 움직임을 드러냈는데 이러한 學藝一致적 경향은 김정희, 조희룡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음과 양의 造化를 나타내는 ‘神’을 존중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서예에서는 ‘中’을 바탕으로 하여 드러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학문과 예술을 일치시키려는 學藝一致적 경향과 陰陽의 조화인 ‘神’을 존중하고 서예에서 ‘中和’를 실현하고자 하는 造化의 世界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순환적 시간성과 死生에 대한 인식을 통해 生命을 존중하는 태도를 드러냈다. 또한 太極에서 陰陽으로의 變化와 統一의 원리를 통한 生命的 審美意識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서예에서 살아 움직이는 生動性과 변화와 통일의 通變性을 중시하는 生命의 藝術觀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자연 조화의 원리로서의 法과 古를 존중하는 태도는 古와 今을 상통하는 것으로 보고 옛것을 학습하고 수양하는 인간상을 존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옛것을 끊임없이 탐구하며 새로운 것을 이루려 했던 창조의 정신으로 발현되었다. 이와 같은 태도는 書如其人의 정신과 法古創新의 정신을 지향하는 相成의 創作觀으로 드러났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造化의 世界觀
  1. 自然理致의 尊重
  2. 陰陽中和의 尊重
 Ⅲ. 生命의 藝術觀
  1. 生動性의 重視
  2. 通變性의 重視
 Ⅳ. 相成의 創作觀
  1. 書如其人의 志向
  2. 法古創新의 志向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주 Kim, Yun Ju.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