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곽(城郭)에서 출토되는 석환(石丸)의 기원과 기능 및 활용

원문정보

The Origin and Utilization of A Pile of Stones Fund at Castles

박세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origin, function and utilization of a pile of stones found during castle excavation investigation. I, the researcher, have seen the research on a pile of stones in the inside of castles while studying castle remains. I became curious about where throwing stones started beyond simple stone throw of a pile of stones, and how they were utilized at war. Therefore, I started research on a pile of stones by integrating literature records and archaeologic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rigin, function and utilization of a pile of stones found at castle remain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reviewing history of research and focusing on the origin of stone wars, the records about stone armies that specialized in throwing stones and various military science books about stone-throwing weapons. After then, I gathered the cases of excavating a pile of stones and the contents recorded in various military science books, and deducted the conclusion about the function and utilization of a pile of ston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tone wars were well recorded in various types of literature, and they were folk sports that people enjoyed, and they were a national sport viewed and enjoyed by kings. In addition, there were stone throwing armies that specialized in throwing stones, and they were directly stationed during war. Various military science books also contain stone throwing armies. A pile of stones found at castles during excavation investigation are preserved in the inside of castles and near castle walls. The preservation method of stones found at Jangmi Mountain Fortress in Chungju is considered to have been affected by Goguryeo. A pile of stones were used for various types of stone throwing weapons that enhanced striking power and throwing rang. A pile of stones in archeological investigation play a critical role in understanding defense system of each castle, and enable to spot location of stone cannon, which is a subsidiary facility used with sto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rowing stone remains but also various facilities and circumstances related to them during excavation investigation.

한국어

본 논문은 성곽 발굴조사 시 출토되는 석환의 기원과 기능 및 활용에 관한내용이다. 필자는 성곽유적을 공부하면서 성 내부에서 석환의 조사내용을 종종 보게되었다. 이에 석환이 단순한 투석 방어무기를 떠나서 이러한 돌팔매가 어디서부터시작되었으며 어떻게 전쟁 시 활용 되었는지 연구 욕심이 생겼다. 따라서 문헌기록과고고학적 자료를 종합하여 석환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곽유적에서 출토되는 석환의 유래와 기능 및 활용에 대해 밝히는데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연구사를 검토하고 석전의 유래와 투석을 전문적으로 하는석전군에 관한 기록과 투석무기에 관한 각종 병서를 탐닉하였다. 이후 성곽에서 확인되는석환의 출토 사례와 각종 병서에 기록된 내용 등을 한 그릇에 모아 석환의 기능과 활용에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각종 문헌에 석전에 관한 내용이 잘 기록되어 있었다. 석전은 백성들이즐기던 민속적인 운동이며 왕이 직접 관람하고 즐겼던 국가적인 운동이었다. 또한 돌을전문적으로 다루던 투석부대가 존재하였고 전쟁 시 직접 편제 되어 활용되었던 것으로확인되었다. 각종 병서에서도 투석도구가 기록되어 있다. 발굴조사 시 성곽에서 확인되는석환은 성내, 성벽과 지근거리에 보관되어 있으며 충주장미산성에서 확인되는 석환의보관방법(석곽)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판단된다. 석환은 공격력과 사정거리를증대시키는 여러 가지 투석무기에 의해 활용되었다. 고고학조사 중 석환은 그 성곽의 방어체계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고석환과 함께 사용되는 부대시설인 석포 등의 위치도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발굴조사 시석환유구 자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시설 및 정황을 판단하며 조사를진행해야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석전놀이의 유래
 Ⅳ. 석전군의 무기
 Ⅴ. 석환의 출토
 Ⅵ. 석환의 성격 및 활용
  1. 석환의 공급지
  2. 석환의 보관
  3. 석환의 조성시기 검토
  4. 석환의 활용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세원 Se-won Park. (재)가람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