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태극도설』 해석에 나타난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의 공부론(工夫論)

원문정보

The Theories of Shelf-Cultivation of Zhuxi and Zhangshi in their explanatory Notes of Taijitushuo

전병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t long after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was founded, Hanshanzhg's theory of Yi made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public. Since then, Zhoudunyi's Tongshu has been published in many places, and it contained Taijitu and Taijitushuo(the explanation to Taijitu). Zhuxi and Zhangshi made a lot of effort into correction, editing, and publishing of Tongshu to complete the common edition, and made annotations about it. They were odds with each other regarding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ecause the had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between Wuji and Taiji, however, they finally reached a consensus through discussion. Zhangshi insisted that jing靜 in zhujing主靜 meant wuji無極 at first, accepted Zhuxi's interpretation that this jing was tranquility of action's antonym. At a time when Zhuxi was agonizing over how to reconcile zhujing主靜 and zhujing主敬, he met Zhangshi to discuss the issue of taiji and found a clue to the solution. Zhangshi first interpreted lirenji立人極 as 'the sage sets the standard of life for others', and later changed it to 'the sage achieves his own virtue'. Zhuxi's explanation for this part was unclear, but Zhangshi's interpretation made the meaning clearer. When Zhuxi was concerned about weifa未發 issue, Zhangshi helped him establish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aiji was an important topic they discussed at the time. Zhangshi explained, "The world's origin is wuji and it is also called taiji because wuji contains all kinds of principles. " This view led Zhuxi to assume weifa未發 was the unknown noumenon. At that time, Zhuxi only vaguely claimed that jing敬 was the key. Then, after establishing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 Zhuxi considered zhujing主靜 as the basis for studying the jing敬. Zhangshi first thought that the moral standards were set up by Sage, but later he accepted Zhuxi's argument and established the theory that everyone should base their inherent nature on morality. As such, the interpretation of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by Zhuxi and Zhangshi is a key not only to understanding their ontologies but also to the reinterpretation their theories of self-cultivation.

한국어

남송(南宋)이 건국되고 얼마 되지 않아 주렴계(周濂溪)의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주진(朱震)의 『한상역전(漢上易傳)』에 수록되어 황제를 비롯한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그 뒤로 주렴계의 『통서(通書)』가 여러 곳에서 출판되었는데 그 속에는 대부분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는 이 『통서』를 교정하고 편집하여 출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나중에는 『태극도설』과 『통서』를 분리하여 유통시켰다. 주자와 장남헌은 처음에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에 대한 해석부터 동정(動靜)의 공부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의견이 대립하였다. 주자가 ‘미발(未發)’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을 때 장남헌은 세계의 본질은 ‘무극(無極)’이며 그 속에 세계의 이치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태극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하여 주자가 ‘미발’을 미지의 본체로 상정하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후 주자는 중화신설(中和新說) 시기에 『태극도설』의 ‘주정(主靜)’을 이정(二程)의 공부법인 ‘주정(主敬)’과 조화시킬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太極이 動靜을 아우르는 것처럼 그 공부인 敬도 동정을 아우르고 주정은 전체 경(敬) 공부의 근간이라는 관점을 정립하였다. 장남헌은 ‘입인극(立人極)’을 처음에는 ‘성인이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삶의 보편적인 표준을 세운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다가 나중에는 ‘성인 스스로 자신의 인극(人極)을 정립(定立)한다’라는 의미로 고쳤다. 이 부분에 대한 주자의 설명은 모호한 감이 있는데 장남헌의 이 해석을 통해 그 의미가 한결 선명해진다. 이렇듯 『태극도설』에 대한 주자와 장남헌의 해석은 본체론뿐만이 아니라 성리학의 공부론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자료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우란분경』의 성립과정
  1) 『우란분경』의 모티브가 된 인도
  2) 『우란분경』의 성립
  3) 『우란분경』의 형성 과정
 3. 『우란분경』에 의거한 우란분재의 설행
  1) 중국의 우란분재
  2) 동아시아의 수용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병욱 Jeon, Byoung-Ok. 中國 南昌⼤學校 江右哲学研究中⼼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