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송 시기 승려가 읽은 『중용』 - 지원의 「중용자전」과 계숭의 「중용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Ziyuan and Qisong’s understanding on Zhongyong

정환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iyuan and Qisong represent the two most influential Buddhist schools in North Song. This paper discusses their philosophical tendencies at the time of reviewing their understanding of Zhongyong. Ziyuan insists that the Zhongyong of Confucianism is the same as the Nagarjuna’s concept madhyama-pratipad and that it should not stick to either emptiness or existence. Therefore, he argues we must learn both Buddhism, the study of emptiness and Confucianism, the study of existence. Qisong presents his thought system as the term of Zhongyong, believing that Zhongyong encompasses both the inner and social aspects. This view was more advanced than Ziyuan's view of limiting Zhongyong to the inner side. The understanding of the two monks is that, as Confucianism embraces the ideological elements of Taoism and Buddhism, Buddhism in the early Song dynasty also showed that it also adopted Confucian elements. This view suggests that the interchanges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during the Early Song period were multi-layer and bilateral.

한국어

지원(智圓)과 계숭(契嵩)은 북송에서 가장 영향을 끼쳤던 양대 불교종파를 대표한다. 본 논문은 지원과 계숭의 『중용(中庸)』에 대한 이해방식을 검토하면서, 당시의 유불병용적 사상을 논한다. 먼저 지원(智圓)은 유가의 중용은 용수(龍樹)의 중도와 같은 것이라 주장하고, 공과 유 가운데 어느 일방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공의 학문인 불교와 유의 학문인 유학을 함께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어 계숭(契嵩)은 『중용』이 심성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모두를 포괄한다고 본다. 이러한 견해는 『중용』을 내적 측면에만 국한시킨 지원에 비해 진일보하였다. 또한 계숭은 『중용』의 용어로서 자신의 심성론 체계를 개진한다. 이 두 승려의 『중용』 이해는 유가가 도불의 이념적 요소를 취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송대 초기의 불교 역시 유교적인 요소를 수용한 측면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찰은 북송 시기의 삼교의 상호 교류가 다층적이면서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우란분경』의 성립과정
  1) 『우란분경』의 모티브가 된 인도
  2) 『우란분경』의 성립
  3) 『우란분경』의 형성 과정
 3. 『우란분경』에 의거한 우란분재의 설행
  1) 중국의 우란분재
  2) 동아시아의 수용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환희 Jeong, Hwan-Hui. 경복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