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왕생전의 형성에 관한 고찰 - 가재(迦才)『정토론(淨土論)』권하(卷下) 제6 「인현득왕생인상모(引現得往生人相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angsheng Zhuan in Chinese Buddhism - Focused on Jiacai’s “Jingtu lun(Treatise on the Pure Land)” -

손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iacai(迦才)'s Jingtu lun(淨土論) records a total of twenty people who attained good rebirth in the pure land. Chinese Buddhism has produced many Wangsheng zhuans since. Because many of these contain records of miracles, good omens, and auspicious things, they have been utilized as biographical-historical materials. However,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s of Wangsheng zhuans, enumerating examples of people who achieved good rebirth not only served to promote the idea of them, but also served as illustrations of the writers' own ideal notions on one who achieved good rebirth. In the end, they were portraying individuals who attained rebirth in the pure land who embodied their own doctrines. In this regard, the writers were reflecting their own ideologies onto particular people who achieved rebirth. This study will explore the reason why Jiacai's(迦才) Jingtu lun(淨土論) discusses people who achieved rebirth in the pure land, how these depictions have been altered from the original biographies and fables, and the ideas that have created these kinds of depictions of them. Through these endeavors, this study will attempt to seek a new perspective on the Tang dynasty's Pure Land Buddhism. The source materials for chapter VI, ‘The Biographies of Twenty People who are Reborn in the Pure Land’ in Jingtu lun(淨土論) that Jiacai(迦才) himself refers to are Biqiuni zhuan(比丘尼傳) and Ming xiang ji(冥祥記). Moreover, Jiacai(迦才) collected materials from previous literature that centered around the articles of "Recollection of the Buddha(念佛)" and "The Reception by Amitabha(Supplication to Amida Buddha, 來迎)" and from collections of fables that were being circulated at that time; also, he organized various instances of good omens(奇瑞) that he either witnessed directly or have heard accounts of. It may be noted that around the 7th century, when Wangsheng zhuans were developed starting with Jiacai's Jingtu lun, historical materials and accounts of miraculous tales were being published simultaneously. Meanwhile, this study suggests a dual intention behind Jiacai's inclusion of a record of individuals who achieved rebirth, such as ‘The Biographies of Twenty People who are Reborn in the Pure Land’, in Jingtu lun(淨土論): to maintain the trueness of the good omens that appeared at the deathbed of people who achieved rebirth in the pure land, the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Pure Land Buddhism, which Jiacai(迦才) does throughout the entirety of Jingtu lun(淨土論).

한국어

재(迦才)의 『정토론(淨土論)』권하(卷下)에는 총 20여 명의 왕생인(往生人)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이후 중국불교에서는 여러 왕생전이 편찬되었다. 대부분 기적·서상(瑞祥)·기서(奇瑞)의 기술이 많기 때문에 전기사료로 활용되어 왔다. 그런데 왕생전류 편찬자의 의도를 생각해 볼 때 단순히 왕생자의 예를 나열하여 원생(願生)사상을 고취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이 이상으로 삼고 있는 왕생자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자기자신의 교리를 구현화한 왕생자의 모습을 그려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편찬자가 가지고 있는 이념을 왕생자의 모습 위에 다시 비추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가재의 『정토론』에서 그러한 왕생자의 모습을 왜 거론하고 있는지 그리고 원래의 전기 및 설화에서 어떠한 변형을 하였는지 검토하고 이어서 그러한 왕생자상을 만들어낸 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당대 정토교에 대한 또 하나의 시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가재가 『정토론』 제6 「인현득왕생인상모(引現得往生人相貌)」의 전거로 직접 언급한 것은 『비구니전』과 『명상기』이다. 뿐만 아니라 이전의 ‘염불(念佛)’과 ‘내영(來迎)‘의 기사를 중심으로 한 문헌 및 당시 유포되었을 설화집에서 자료 수집을 하고, 직접 보고 들은 다양한 기서를 정리하였다. 가재 『정토론』을 시작으로 한 ‘왕생전’이 발생한 배경으로 7세기 무렵이 역사적 자료와 응험설화적 자료가 동시에 편찬되었던 시대라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한편 가재가 『정토론』에서 「인현득생인상모」과 같은 왕생인의 기록을 편찬한 것은 왕생인의 임종시에 나타난 奇瑞의 실제성을 주장하고, 가재가 『정토론』 전체에서 주장하고 있는 정토교의 정당성과 그 실천에서 기서의 실제성을 주장하는 이중의 의도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우란분경』의 성립과정
  1) 『우란분경』의 모티브가 된 인도
  2) 『우란분경』의 성립
  3) 『우란분경』의 형성 과정
 3. 『우란분경』에 의거한 우란분재의 설행
  1) 중국의 우란분재
  2) 동아시아의 수용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진 Son, Jin.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일반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