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어』를 통해 본 유학의 창의성

원문정보

The Creativit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Analysts

이시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need creative talent not only in science but also in economics, technology, art, politics and so on. The humanities is no exception. Confucian education research also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way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and emphasizes education that combines creativity and human nature. However, our society's perception of confucianism's creativity is skeptical. In the extreme sense, it is easy to hear the remarks that Confucianism, Confucian idea, and Confucian education have blocked progress of our society and led to the eradication of creativity. In this paper, the tendency to view 'separation from confucianism' as progress is a different form of decline. So I look for the possibility that Confucianism and creativity can be linked without interfering. It also reveals that the positive 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is an opportunity for progress that leads to mor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s and social behaviors, leading to social development and harmony. I don't want to say that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re the sum of truth that can explain and solve everything in life. And I don't want to say that Confucianism can not have creativity and contact in its native way due to the New Wisdom, a traditional way of seeking knowledge[wēngùzhīxīn(溫故知新)]. However, in order to compromise or compromise an important statement held by one another, there must be a sense of principle proposition and engagement that both sides recognize.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the proposition that both sides must acknowledge together, that 'all creativity and creativity are discovered and realized in a relationship' and a new 'sensation of forming a relationship.' This reveals the possibility of a coexist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To carry out these studies, an interpretation will be attempted, mainly based on examples from The Analects and references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the paper reveals that Confucianism is not a history of repetition but a history of struggle for individuality, which showed excellenc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reativity.

한국어

현 시대는 과학뿐만 아니라 경제, 기술, 예술, 정치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인재를 필요로 한다. 인문학도 예외가 아니다. 유학 교육․연구에서도 창의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며 창의와 인성을 결합시킨 교육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유학의 창의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은 회의적이다. 극단적으로는 유학, 유교사상, 유학교육이 우리 사회의 진보를 가로막고 창의성 말살을 초래했다고 매도하는 발언도 쉽게 들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의 분리’를 진보로 보려는 경향은 다른 형태의 쇠퇴라는 입장에서 유학과 창의성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울러 유학과 창의성 간의 긍정적 작용이 좀 더 바람직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행위를 낳아 사회 발전과 조화를 이끄는 진보의 계기임을 밝힌다. 필자는 유학의 경전이 마치 세상만사를 모두 설명, 해결할 수 있는 진리의 총화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또 유학의 전통적 지식 추구 방법인 ‘온고지신’은 태생적으로 창의성과 접점을 가질 수 없다고 말하고 싶지도 않다. 다만 어떤 상반된 입장이 서로가 고수하는 중요한 발언을 관철시키거나 타협하려고 하면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하는 원칙적 명제와 포용의 감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해야 하는 것, 즉 ‘모든 창의성과 창의적인 것은 관계 속에서 발견․실현된다.’ 라는 명제와, 새로운 ‘관계맺음의 감각’을 제시함으로써 유학과 창의성의 만남 가능성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주로 『논어』의 용례를 기초로 삼고 그와 관련한 문헌을 참고하여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 결과 유학은 동형반복의 역사가 아니라 도덕적 창의성 계발에서 탁월함이 발휘된 개성분투의 역사임을 밝힌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1) 창의성, 유학의 입장에서 새롭게 생각하기
  2) 『논어』의 창의성 계발
 3. 창의적 ‘관계’의 조건: 진정성을 바탕 한 지언(知言)과 지인(知人)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시우 Lee, See-Woo. 호서대학교 창의교양학부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