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terest level scale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 activities. The initial set of 36 items with 7 sub-constructs were generated from literature reviews.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itial items with 119 Youth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1 items were removed based on the value of Cronbach α. After that, main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ed 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test, examination of the 35 items scale indicated barely acceptable level of fit. The deletion of 3 items with cross-loading improved the model fit (χ2=615.284, df=284,p<.001, CFI=917, TLI=897, RMSEA=.057). Finally, utility and academic implic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교회교육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교회교육프로그램 흥미수준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다. 흥미 수준 측정도구 관련 연구를 참고하여, 7개의 하위요인과 36개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하위요인은 일반적인 교육 흥미 5개 요인과 교회교육 활동 2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일반적인 교육 흥미 수준의 하위요인 5요인과 교회교육활동과 관련된 흥미 수준 2요인을 구성하였다. 수도권의 교회에 출석하는 청소년 119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 결과 .73에서 .93까지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내용 선호 요인에서 신뢰도를 저해하는 1개 문항을 제외하였다. 본 검사는 수도권 소재 교회에 출석하는 청소년 4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검사의 내적 합치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신뢰도는 .74에서 .93까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초기 모형은 모형 적합도가 낮아 요인 부하량을 토대로 2문항을 제거하는 것으로 모형을 수정하여 다시 분석하였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χ2=1643.676, df=474,p<.001, CFI=929, TLI=979, RMSEA=.055로 교회교육프로그램의 흥미수준을 측정하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7개 하위요인에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교회교육 프로그램 흥미수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교회교육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흥미수준 도구를 개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1. 교회교육 활동과 평가
2. 흥미수준의 정의 및 구성 요소
III.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하위 요인 및 문항 구성
3. 예비검사
4. 본검사
IV. 연구 결과
1. 예비검사 결과
2. 본검사 결과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Study for Standardization of Learning Interest Inventory네이버 원문 이동
- 2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Evaluation Criteria Set of Education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of Church Schoolearticle 원문 이동
- 3박도순 (2007).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 4박상진 (1993). 교육목회를 위한 교육구조 및 체제 비교분석. 교육교회, 209, 38-55.
- 5Understanding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Church Educationearticle 원문 이동
- 6Postmodernism and Crises and Challenges in Bible Teaching of Church Schoolsearticle 원문 이동
- 7배호순 (2008).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 8신정엽 (2011). 장년교육목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대학원, 서울.
- 9Spirituality and Christian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isk Societyearticle 원문 이동
- 10윤미선 (2003).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