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청동기시대 타제인기의 속성과 기능 연구 - 조동리유적 출토 타제인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Features and Functions of Chipped Stone Blades of Korean Bronze Age : Based on Chipped Stone Blades from Jodongri Site

김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vious studies on Bronze Age stone tools have focused on polished stone tools, in part due to the perception that polished stone tools replaced chipped stone tools. This perception, however,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Ample reports and cases indicate that chipped stone tools continued to be used. In fact, since we cannot fully understand the Bronze Age life with only polished stone tools, there is a need to study chipped stone tools that have been overlooked thus far. The present paper examines various features and functions of chipped stone blades as a part of the larger research on chipped stone tools. The focus of this study are the chipped stone blades from Jodongri site in Chungju. The study analyzes features such as raw material, blade shape, final touches, and use-wear. Sandstone, fine-grained sandstone, and schist were used as raw materials. Since the raw materials that were used are similar to those used in other stone tool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y-products were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de angle and use-wear was also examined. In the tool group where the blade angle is mostly 30~50°, micro-chipping patterns and use-wear are seen in various forms. In contrast, in the tool group where the blade angle is mostly 90°, only use-wear is seen. As such, it suggests that the former group was used in a variety of tasks, while the latter was used for specific purposes. Furthermore, the raw materials used and the indeterminate shape indicate that they were stone tools made in a casual manner: they were disposable, suggesting that the cycle from the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to disposal was much shorter than that of other stone tools.

한국어

그 동안의 청동기시대 석기 연구는 마제석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연구 경향은 마제석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타제석기는 소멸한다는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은 구체적 검토를 거친 것이 아니며, 일부 보고 및 연구사례를 보았을 때 타제석기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오히려 현재의 석기 기종 구성으로는 당시의 생활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타제석기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타제석기 연구의 일환으로 타제인기의 여러 속성과 기능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이 된 자료는 충주 조동리유적의 타제인기로, 석재·인부형태·잔손질 등의 속성과 사용흔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석재는 사암 및 세립사암, 편암 등이 확인되었는데, 다른 기종의 석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석기 제작 과정의 부산물을 이용해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인부 각도와 사용흔의 관계도 주목되는데 인부 각도가 30~50°중심인 그룹에서는 미세박리흔과 마모흔이 다양하게 나타난 반면, 90°중심인 그룹에서는 마모흔I만 나타나 전자의 그룹은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고 후자의 그룹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나아가 석재나 부정형의 형태 등은 공들여 만들지 않은 석기, 즉 일회성 석기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석재 획득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주기가 다른 석기보다 훨씬 짧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용어의 정의 및 연구 방향 설정
  1. 용어의 개념 정의
  2.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설정
 III. 타제인기의 속성 분석
 IV. 타제인기의 사용흔 검토 및 기능 추론
  1. 타제인기의 사용흔 검토
  2. 타제인기의 기능 추정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영 Kim, Soo-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