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위험도 평가 및 관리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Trail in Landslide Prone-Areas of Korea National Parks

이상희, 정원옥, 윤주웅, 김명준, 방홍석, 이윤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landslide risk classes in Korea national parks, the degree of risk was evaluated for trails with landslide prone-areas in 14 Korea national parks including Jir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3 A-grade sites need immediate actions, and 106 B-grade sites shoud have short-term plans. In addition, 1,264 Cgrade sites are required to make mid-term and long-term management plans. 4,965 D-grade sites can be managed generally without special management. Most trais in Korea national parks would be stable as they are classified into C and D gra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manual aiming at ensuring safe activities and minimizing forest damages.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s for trails in landslide prone-areas.

한국어

국립공원별 산사태 발생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지리산국립공원 등 14개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등급 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에 대하여 현장조사와 현황분석을 통해 재해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총 6,338개의 탐방로 중 즉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A등급 3개소, 단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 106개소, 중장기적인 조치가 필요한 C등급 1,264개소 및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일상적인 관리가 가능한 D등급은 4,965 개소로 파악되었다. 국립공원 내 탐방로는 대부분 재해위험도 C등급과 D등급에 포함되어 대부분 안정된 상태로 판 단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산사태 위험지역 내 탐방로 관리는 탐방객의 안전한 탐방활동을 보장하고 산림훼손 최소 화를 목표로 하는 매뉴얼을 작성하고,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조사대상지
  2.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3. 탐방로 관리방안 마련
 결과 및 고찰
  1.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및 조사대상지 현황
  2.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3. 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에 따른 관리방안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희 Sang-Hee Lee.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정원옥 Won-Ok Jeong.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윤주웅 Ju-Ung Yun.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김명준 Myeong-Jun Kim. (주)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
  • 방홍석 Hong-Seok Bang. (주)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
  • 이윤태 Youn-Tae Lee.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