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flexibility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of music therapis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in the effect of the distress tolerance on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For this study, the distress tolerance, flexibility,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levels and general nature were measured targeting 169 music therapists over master’s degree who majored in music therapy.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the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level following the general nature of the music therap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level of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main therapeutic targe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r therapy-experience or not. Second, distress tolerance, individual 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ffect. Also, individual flexibility, coping flexibility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ffect. Third, each of individual 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lso, individual 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d through this path: [distress tolerance → individual flexibility → coping flexibility →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Through this, it is reasoned that the higher distress tolerance, the more flexible in coping and in cognitive or interpersonal relation, it will be connected to proper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even if it does not directly affect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who are in the stress situation of counter-transference phenomenon could minimize the negative affect of counter-transference and utilize counter-transference as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thereby being tolerant, flexible in coping.
한국어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스트레스 감내력과 유연성, 역전이 활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감내력이 역전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 악치료를 전공한 석사 수료 이상의 음악치료사 16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내력, 유연성(개인 유연성 및 대처 유연성), 역전이 활용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for SPSS를 사용하여 Model 6의 직렬다중매개분석으로 유연성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및 음악치료사의 주 치료대상, 심리 상담 및 치료 경험 여부에 따라 역전이 활용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스트레스 감내력은 개인 유연성 및 대처 유연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 및 영향을 보였다. 또한, 개인 유연성, 대처 유연성 및 역전이 활용 간 유의한 정적 상관 및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감내력과 역전이 활용의 관계에서 개인 유연성과 대처 유연성은 스트레스 감내력과 역전이 활용의 관계에서 부 분매개 역할을 하는 유의미한 이중매개변수들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치료사에게 주 어진 역전이 현상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치료사가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내하면서도 상황 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역전이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 를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
방법
연구 대상과 과정
측정도구
분석방법
결과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전이 활용 수준 분석 결과
스트레스 감내력, 유연성, 역전이 활용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스트레스 감내력 및 유연성이 역전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스트레스 감내력과 역전이 활용의 관계에서 유연성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