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분석

원문정보

The Convergent Effects of Self Growth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Girls

김정경, 김인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middle-school girl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2 and December 28, 2017. A total 24 middle-school girls at K city were particip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p<.01) better score in the self-esteem test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aking program.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core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 test(p<.05) and school classes test(p<.05)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aking program.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ce in presenting scientific evidence of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hat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 variety of teenagers develops.

한국어

본 연구는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료수집은 G도, K시에 소재한 여자중학교 1학년 2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19일부터 12월 28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프로그램 사후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교사관계와 학교수업에서 프로그램 사후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을 통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보이므로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시사된다. 추후 다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설계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3.2 종속변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3.3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3.4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정경 Jeong-Kyeong Kim.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심리상담학과 석사
  • 김인홍 In-Hong Kim.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