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the Simulation-based Cooper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Health College Students

오은영, 최예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based cooper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health college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Sixty-eight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simulation-based cooperation program, and 68 were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treatmen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efficacy(z=-4.70, p<.001) and college life adjustment(t=2.03, p<.05)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z=-1.87, p=.06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imulation-based cooperation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in health college students. Thus the simulation-based cooperation program to promote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needs to be more developed and research related with cooperation program is further need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에게 적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68명,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68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z=-4.70, p<.001)과 대학생활 적응(t=2.03, p<.05)이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z=-1.87, p=.061)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절차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일반적 특성 및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3.2 시뮬레이션 기반 연합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은영 Eun-Young Oh.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최예숙 Ye-Sook Choi.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