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good death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05 students from June 1 to June 15, 2018, who are 111 students in third grade and 94 students in fourth grade at S City of C university. Deat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good death were both normal. Death consciousn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experience of thought about death(t=.559, p=.002), and awareness of good death was death education(t=.777, p=.01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death(F=2.964, p=.03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ade and awareness of good death(r=.161, p=.021),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eat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good death(r=-.71, p=.31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deat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good death, the importance of death thought and death educ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nd the needed to repeated research for nursing education and relationship confirmation to improve the deat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good death.
한국어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을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S시에 소재한 C대학의 3학년 111명, 4학년 94명인 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대상자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정도 모두 보통수준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의식은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경험에서(t=.559, p=.002), 좋은 죽음 인식은 죽음교육(t=.777, p=.018)과 죽음에 대한 이해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F=2.964, p=.033). 학년과 좋은 죽음 인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161, p=.021),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71, p=.311).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들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인식 정도와 죽음생각과 죽음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과 관 계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자료 수집 방법
2.4 연구 도구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죽음의식
3.3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
3.4 대상자의 죽음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간의 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