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사범계 대학생의 SNS 소통 행태 및 인식 탐색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xploration on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S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 : Focused on KAKAOTALK

박선희, 김성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e out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use in KAKAOTALK,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mixed 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of survey about 86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 10 of them. The chief implication of research showed that it has been firstly functioning them to sustain public and private network and to be an universal tool of expression their opinion, idea, themselves, however, they still regard face-to-face communication important. Secondly, they think that KAKAOTALK is a part of their everyday lives and regarded a communication space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and to adjust and manage their image. Thirdly, they psychologically solved their loneliness and were encouraged, moreover,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usd of public or private team chat room. It needs a follow-up study comparatively to analyze other generation’s cognitive psychological values in SNS and to suggest digital culture literacy guidelin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 대학생들이 보편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 하나인 카카오톡 환경에서 나타나는 소통 행태와 활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86명의 사범계 대학생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10명에게 심층면담조사를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카카오톡은 대학생에게 공적·사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을 하고, 자신의 의견, 생각, 존재 자체를 표현하는 보편적인 도구 이지만, 여전히 면대면 소통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카카오톡 환경이 대학생의 삶, 즉 일상의 생태계 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미지를 조정, 관리하고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소통의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그들은 카카오톡을 통하여 심리적으로는 외로움을 해소하거나 자신을 지지하는 힘을 얻기도 하였으며, 공적 또는 사적 단톡 방 용도에 따라 소통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세대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안에서 느끼는 인지심리학적 변인을 비교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의 차원에서 디지털 문화 리터러시 지침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분석
  2.1 SNS 소통
  2.2 SNS 활용 및 인식
 3. 연구 방법 및 절차
  3.1 연구 대상과 자료 수집
  3.2 자료 분석과 해석
 4. 연구 분석
  4.1 카카오톡 활용 실태 및 소통 행태
  4.2 카카오톡 활용에 대한 인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선희 Sun-Hee Park. 한남대학교 교직부 부교수
  • 김성미 Sung-Mi Kim.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