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practicing a teacher as a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s auto-ethnography. To that end, researchers reflect on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 and have found a point of direction for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earcher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pics such as 'exercise classes for which students do not have rights,' 'external children,' and 'skill status for gove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efforts,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of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set as 'I think sports classes are right', 'Enable public opinion for the promotion', and 'to form a critical attitude with no correct answers.' A total of 18th hour kickball classes were conducted, and the story was constructed based on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In chapter 3 and chapter 4, which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cess of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process of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onclusion, I confessed that the practice of democratic PE class was an experience of deepening and deepening democracy, and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follow - up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자기 체육수업을 성찰하고, 민주적인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을 자기 서사적으로 드러내는데 초점이 있다. 우선 연구자 스스로의 교수경험을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적인 체육수업의 지향점 을 발견하였다. 연구자의 체육수업을 성찰한 결과 ‘학생의 권리가 부재한 체육수업’, ‘소외된 아이들’, ‘체육수업을 지배하는 능력지상주의’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민주적 체육수업의 실천 방향을 ‘체육수업을 권리라고 생각하기’, ‘권양이양을 위한 공론의장 활성화하기’,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는 비판적 태도 형성하기’ 등으로 설정 하였다. 총 18차시 발야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이글 의 본론에 해당하는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민주적 체육수업이라는 지향점을 탐색하는 과정과 민주적 체육수업의 실천과정을 기술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민주적 체육수업의 실천 자체가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심화하는 경험이었다 고 고백하며,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민주적 체육수업의 방향 찾기
1. 나의 체육수업 돌아보기 : 학생의 권리가 부재한 체육수업
2. 체육수업의 지평 속에서 비로소 드러나는 존재들 : 소외된 아이들
3. 체육수업을 지배하는 능력지상주의 : 운동능력
4. 민주적 체육수업을 위한 실천 방향 탐색
Ⅳ. 민주적인 체육수업의 실천과 의미
1. ‘원하는 사람끼리 모둠해요’ : 모둠평성 과정과 갈등의 전조
2. ‘부자와 거지의 대결’ : 세 아이들의 눈물로 배운 자유의 함정
3. ‘어쨌든 절차가 중요해요’ : 운동 잘하는 아이들의 ‘공정’에 대한 논리
4. ‘노(no)답’ 아이들 : 어찌되건 관심 없는 아이들
5. ‘가위, 바위, 보’ : 아이들의 민주적인 역할배정 방식
6. 발야구 리그전이 남긴 것 : 민주적 체육수업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