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India, decorations for architecture have been routinely done and expanded to Buddhist pagodas and other structures of the Buddha's central hall and temples. The decoration of the Buddha's central hall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t the earliest times of Buddhism, and the use of various Buddhist art decorations is said in the Qing dynasty. These ornaments are the center of faith and practice of Buddha 's hall from the time of Buddhism, and consciousness is mostly centered on the sutpa. In Korea, as the space of Buddha was created, various decorations were developed, and it was developed around architecture style and Buddhist painting. However, since the existing temples were buil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general, it is impossible to confirm many characteristics of the decoration of the previous period. The main purpose of the main Buddha's central hall was to carry out the ceremonial ceremony and the meaning of the patriarchy. However,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had the function of supervising the mission and education space and added the symbolism of the plural teaching to the limited space. In these roles and functions, the combination of architectural decoration and Buddhist decoration combines to form a system of education and proscription that can easily and quickly deliver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e spaces of the main Buddhas result in symbolism that harmonization and integration are organically organized, And to express the world of Buddha and Bodhisattva. Therefore, the decorations of the main Buddhist pl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ursued the ecology of the times and developed into a role to take charge of the missionary education and the space for the mission and to integrate the aesthetic senses. Based on the texts developed at that time, Interpreted and tried to realize the world of Buddhahood in the present place, and in reality embodies the decoration symbolizing the pure land of Buddha and Bodhisattvas.
한국어
인도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장엄이 여러 부분에서 행해졌고 불교에 수용되면서 불탑과 불전 및 사찰의 다른 건축물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불전의 장엄에서도 세존께서 교화하시던 빠른 시기에 이미 성립되고 있고 율장에서는 다양한 불교미술의 장엄을 사용한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엄들은 세존께서 교화하시던 때부터 불전이 신행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의례는 대부분이 불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는 불전이 창건되면서 여러 장엄이 발전되고 있고 건축양식과 불교회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렇지만 현존하는 사찰은 대체적으로 임진왜란 이후에 건축되었으므로 이전 시대의 장엄에 나타났던 특징을 많이 확인할 수는 없다. 주불전의 본래 목적은 예경의 의례를 통한 수행과 기복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으나 조선후기에 이르면 포교와 교육공간을 총괄하는 기능을 갖추게 되었고 제한된 공간에 여러 교학의 상징성을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과 기능에서 건축적 장엄과 불화의 장엄이 조합되어 세존의 가르침을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과 포교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주불전은 조화와 통합이 유기적으로 체계화된 상징성으로 귀결되어 불보살의 세계를 표현하는 역할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 주불전의 장엄은 시대의 생태를 쫓아서 본래의 목적인 의례에서 더 나아가서 포교 및 교육공간을 총괄하는 역할로 발전되면서 미학적인 감각을 통합시켰고, 그 당시에 발달하였던 교학을 바탕으로 경전을 재해석하여 불보살의 세계인 정토를 현재의 이곳에 구현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현실에서 불보살들의 정토를 상징하는 장엄을 완성하고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주불전 장엄의 형식
Ⅲ. 율장에 나타난 장엄
1. 건축적 요소의 장엄
2. 불화적 요소의 장엄
Ⅳ. 불전의 장엄과 기능의 재해석
1. 의례공간 장엄의 해석
2. 포교와 교육공간 장엄의 해석
3. 현세에서의 정토의 완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