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와 무속의 생사관과 의례체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ew on Life and Death in Buddhism and Shamanism, and Their Ritual System

구미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ew on death’ in Buddhism and Shamanism, and the ‘aspect in which the problem of death is dealt with through rites’, there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 Investigated were the perspectives on spirit and afterlife as recognized in Buddhism and Shamanism. Both Buddhism and Shamanism combined around the concept of universality. While Buddhism was influenced by folk beliefs in its perspective on spirit, Shamanism enthusiastically accepted the thoughts on afterlife from Buddhism. In Buddhism, the recognition of existence after death is internalized in depth with the folk idea around the perspective on spirit. Regardless of the original teachings of Buddhism, a belief in the existence of spirit was actualized in encounters with believers, which eventually collapsed the boundaries between Buddhism and Shamanism. Shamanism first bore the characteristics of a natural religion in which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two worlds without the solid concepts of judgment and salvation. This aspect has been merged into innate humanity, like the concepts of paradise, hell and retributive justice, since the gradual influence of Buddhism began. Next, the death rituals of Buddhism and Shamanism were examined. Based on 49Jae(a death ceremony held at the 49th day from the deathday) and Jinogi Gut(a ceremony for sending the spirit of the deceased to paradise), the structures of Cheondojae(a ceremony for guiding spirits in hell or spirits wandering around this world to paradise) in Buddhism and Neok Gut(spiritual ceremonies) in Shamanism were analyzed, and the aspect in which godly beings exist were dealt with. Subsequentl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spect in which the purposes of two death rituals having similar structures and afterlife views are fulfilled. First, as seen in the steps of the rituals, Cheondojae reinforces its purpose by pursuing discrimination and originality, while the same goes for Neok Gut by pursuing complexity and repetition. In Cheondojae, the purpose and contents in each step are original and are unfolded in a unilinear way. On the other hand, Neok Gut is separated into Yiseung Gut(a ceremony for this world) and Jeoseung Gut(a ceremony for the other world), and the journey leading to the other world is unfolded in multiple levels. In addition, in Neok Gut,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of the deceased is reproduced repetitively, which all indicate repetition as well as complexity. Second,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between godly beings and mortals was found. In Cheondojae, mortals praise and pray to godly beings, and the godly beings show them the truth. On the other hand, in Neok Gut, the communication is rather avant-garde and radical. Godly beings bestow different words depending on their status and role, while the deceased also express their ideas drastically. Particularly i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worlds are torn down, and a pinnacle of emotional correspondence is reached, which works as a primitive force born in the rites of Shamanism. Third, a difference in the festival feature for the sublimation of sadness and regeneration was found. Unlike the solemnness and grief of Confucian rituals, death in Buddhism and Shamanism is viewed as a path to the next world, which make the festival feature visible. The songs, dances and amusements brought into the death rituals of Buddhism and Shamanism are a means to send the dead to a better place and to lead living beings back to their normal lives in good shape. This indicates that the rituals are mirrors to the view on life and death, which turns a ‘sad and bleak death’ into a ‘blessed and hopeful life.’

한국어

이 글은 불교와 무속의 ‘죽음에 대한 관념’과 ‘의례를 통해 죽음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양상’을 살펴 전통종교의 토양 속에서 형성된 한국적 죽음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불교와 무속에서 인식하는 영혼관과 내세관에 대해 다루었다. 두 종교는 보편성을 중심으로 결합하는 가운데 영혼관의 경우 불교에서 민속신앙의 영향을 받았다면, 내세관은 불교적 사후인식을 무속에서 적극 수용하였다. 사후존재에 대한 불교의 인식은 영혼관을 중심으로 민간 보편의 통념이 깊이 내면화되어 있다. 불교 본래의 가르침과 무관하게 신도들과 만나는 현장에서는 영혼의 실재에 대한 믿음이 작동하면서, 무불(巫佛)의 경계를 허물며 넘나들게 되었다. 무속에서는 본래 내세가 분화되어 있지 않고 심판과 구원의 개념이 없는 자연종교의 성격을 지녔다. 그러다 점차 불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극락과 지옥, 인과응보 등 인간본원의 것을 중심으로 결합되어가는 내적 개연성을 살펴볼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와 무속의 죽음의례를 다루었다. 탈상지점의 사십구재와 진오기굿을 대상으로 불교의 천도재와 무속의 넋굿의 구조를 분석하고, 신적 존재의 존재양상에 대해 다루었다. 이어 유사한 틀과 내세관을 지닌 이들 죽음의례가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특수성으로 의례목적을 이루어 나가는 몇 가지 양상을 분석하였다. 첫째, 의례단계에서 천도재는 변별성ㆍ독자성으로, 넋굿은 복합성ㆍ중층성으로 각기 목적을 강화하고 있다. 천도재는 각 단계의 목적과 의례내용이 독자성을 지니고 단선적으로 전개되는 데 비해, 넋굿은 이승굿과 저승굿으로 이원화되어 있다는 점, 저승으로 가는 과정이 중층적으로 재편되어 있다는 점, 망자의 문제해결 과정이 반복 재생된다는 점 등 다양한 차원에서 복합성ㆍ중층성이 드러난다. 둘째, 초월적 존재들과 인간 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성격이다. 천도재에서 인간은 신적 존재에게 찬탄과 기원을 올리고, 신적 존재는 진리를 내리는 구도를 지닌 데 비해 넋굿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은 전방위적이고 파격적이다. 신들은 위상과 역할에 따라 끊임없이 말씀을 내리고, 망자 또한 수시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한다. 특히 망자와 유족의 대화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정서적 교감의 정점을 이루는 풀이로, 무속의례가 지닌 근원적 힘으로 작동한다. 셋째, 슬픔의 승화와 재생을 위한 의례의 축제성이다. 엄숙하고 비통하기만한 유교의례와는 달리, 무속과 불교에서 죽음은 또 다른 내세가 열리는 길이라 보기에 이를 풀어나가는 의례에도 축제성이 드러난다. 죽음의례에서 펼쳐지는 노래와 춤과 놀이는 망자를 좋은 곳으로 잘 보내고 산 자는 다시 일상으로 건강하게 돌아오기 위한 풀이이다. 이를 통해 ‘슬픔과 절망의 죽음’을 넘어 ‘축복과 희망의 삶’으로 되돌려놓는 생사관을 엿볼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보편성으로 만나는 두 종교의 영혼관과 내세관
  1. 민속신앙의 통념을 받아들인 불교의 영혼관
  2. 불교적 사후인식을 받아들인 무속의 내세관
 Ⅲ. 불교와 무속 죽음의례의 구조와 특성
  1. 천도재와 넋굿의 의례구조
  2. 내세관과 결합된 신적 존재들
  3. 의례에서 주목할 만한 특성들
 Ⅳ. 삶과 죽음을 연결하는 의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미래 Koo, Mee-ra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