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염불선의 성립과정과 무주청화

원문정보

The meditation of chanting Buddha and MujuCheonghwa

정광균(법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m has been endeavored to secure public sympathy. It is said that Buddh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performing Buddhism, and it is the unity of faith and practice that harmonizes Buddhism and s eon. Thus, the acquisi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which are advocated by Gumta and Cheonghwa, is sufficient to induce public sympathy. Because the two prepositions first match all the core contents of Buddhism from the early Buddhism to the Harmony, and define the lines that have not been separated by one person as a pure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the sutra of the Buddha and to embody the true nature of the Buddha in the sutra. The following Cheonghwa proves through the use of Buddhism, Buddhism as the best way to combine Buddhism and Buddhism in terms of practicalit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unacceptable except for the Cheonghwa line. Securing legitimacy and tradition. This is the content of the execution and learn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the original mind of the practitioner was the mind of Buddha, the mind of seon, and the mind of Buddhism, which emphasized the status of disappearance as the Buddha. Finally, the essence of regeneration is a pure mind that is originally realized and a spirituality. Therefore, Samadhi of specific mode or samadhi of one action, vipassana and action of Samadhi, who realized that Buddhism were aimed to learn by sight and that the law was one form, vipassana and chanting the name of Amita buddha(觀而念之) passed through the one-mark of the dharma dhatu(法界一相) and the Buddha-recollection samadhi acquire the same as the meditation of the chanting of buddha(念佛禪).

한국어

불교의 오랜 역사에서 불교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올바른 이해는 대중의 공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여왔다. 불교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행방식으로 염불과 참선이 조화를 이루는 신앙과 수행의 일치라고 말한다. 그래서 금타(金陀)와 청화(淸華)가 주창한 염불선의 체득은 대중의 공감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왜냐하면 먼저 두 선지식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육조혜능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모든 핵심내용을 정합하여 일인전(一人傳)에 일인도(一人度)로 분파되지 않은 선을 순수한 선으로 규정하고 염불도 역시 선의 일종으로 반야를 체득하여 구경에 제법실상인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체현함을 목적으로 삼아 실상염불선이란 용어를 채택하여 모든 선을 회통하였다. 다음 청화는 간화선 이외는 용납되지 않는 현실에서 실천적인 측면에서 염불과 선을 결합하여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까지 최상승선으로 규정하고 궁극에 도달하려는 경지와 일치한다는 관점에서 경론을 통해서 입증하여 정통성과 전통성을 확보하였다. 이것이 바로 염불선의 수행과 체득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수행자의 본래 마음이 붓다의 마음[佛心]이고 참선의 마음[禪心]이며 염불하는 마음[念心]으로 견성(見性)이 바로 견불(見佛)로 불퇴전의 경지를 중요시하였다. 끝으로 중생의 본질이 본래 깨달은 청정한 마음이고 진여자성이다. 따라서 이는 염불과 선이 구경으로 체득할 목적이고 법계가 하나의 모습임을 깨달은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염불이란 하나의 수행인 일행삼매(一行三昧)의 관이염지(觀而念之)를 통과하면 법계일상(法界一相)의 구경청정을 체득한 염불삼매와 상통하기 때문에 본래 청정한 마음의 체득이라는 실상염불선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염불선의 성립과정과 무주청화
  1. 불교 수행의 목적
  2. 염불과 선의 관계
  3. 염불선의 성립과정
  4. 염불선의 체득내용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광균(법상) Jung Kwang-gyun(Ven. Bup-sang). 동국대학교와 중앙승가대학교 외래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교육아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