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묘승정경』 연구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서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akes a bibliographical approach to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pseudepigrapha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explores related contemporary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First, the study bibliographically approaches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in three areas: copy, revision and translation, and resolution. Three copies of Chinese and Tibetan texts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re considered; the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each copy and the condition in which each has been preserved. In terms of revision and translation, the study first examines three revised editions, and applies the assessments of the two textual bibliographies regarding the three revised editions. In terms of translation, the study finds one French and one Korean translation. Lastly, the study considers three types of resolutions, but they will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ecause two of the resolutions are almost identical from a general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research regard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demonstrates that despite the heightened attention given to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is scripture, the corresponding research is rather lacking. In addition, while there is an interpretation connect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nd the Council of Lhasa, there also seems to be confusion regarding this interpret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citation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in the Seokgayeoraehaengjeokson≪釋迦如來行蹟頌≫.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elevance of Zen (禪) as a promising research field regarding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and pseudepigrapha (僞經), especially the pseudepigrapha recorded in the list of Dào ān (道安 CE 314-385), the first pseudepigrapha, which illustrates the Zen tradition that led to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Moreover, the study shows the need to investigate further the effect of the Zui Miao Sheng Ding Jing on Tibetan Zen (Nyingma school).

한국어

『묘승정경』은 중국 남북조 시대에 제작된 위경(僞經)으로, 천태종과 선종을 이해하는데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경전이다. 다만 수, 당 시대 이후 누락된 결본(缺本)으로 근래까지 경전의 전모를 알기 힘들었다. 헌데, 돈황사본에서『묘승정경』의 사본이 나옴으로써 관련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묘승정경』을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첫째로『묘승정경』의 사본과 번역들을 개괄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묘승정경』이 단순한 결본이 아니라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실제 티베트대장경에 편입되어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었으며, 관련 사본 5종(한문본 3가지, 티벳어본 2가지)의 서지학적 사항도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사본의 여러 교정들과 과단을 비교 및 분석하고 현대어역 2 가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현대의 『묘승정경』 연구들을 빠짐없이 소개하고자 하였다. 다만 이를 80년대를 기준으로 앞뒤를 나누어 소개하였다. 80년대 이전에는 『묘승정경』의 실체가 밝혀진 이후, 티베트어로 번역된 사본까지 발견되면서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시도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들은 그 시도와 전망을 그리는 것으로 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90년대 이후에는 오히려 한국에서 『묘승정경』과 관련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는 크게 주목받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후 기대되는 『묘승정경』의 연구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북조 선관과 천태학의 두 분야에서 『묘승정경』은 재고(再考)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티베트의 전승과 관련하여도 매우 흥미로운 연구가 가능하지 않을까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묘승정경』의 사본 및 교정과 번역의 현황
  1. 『묘승정경』의 사본현황
  2. 『묘승정경』의 교정 및 번역
  3. 『묘승정경』의 과단
 Ⅲ. 현대의 『묘승정경』 연구
  1. 1980년대까지의 연구
  2. 1980년대 이후의 연구 및 한국에서의 연구
 Ⅳ. 향후 『묘승정경』 및 티베트어역 위경연구의 방향
  1. 『묘승정경』연구의 필요성
  2. 티베트어역 위경과 『묘승정경』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정원 Jeongwon Seo.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