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세친의 종자설 再考

원문정보

The bīja Theory of Vasubandhu Revisited

세친의 종자설 재고

권오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generally taken for granted that the theory of bīja has originated in the novel ideas of Vasubandhu. But Saṅghabhadra acknowledges the theory of Vasubandhu just as another version of the bīja theory equivalent to that of Dārṣṭāntika or an offshoot of the *pūrvānudhātu theory established by Sthavira Śrīlāta. The notion of bīja is a metaphorfor hetupratyaya, that is, the dharma capable of producing, and serves as the core concept in illustrating the origin of all sentient beings and their worlds, as demonstrated in the theories of *pūrvānudhātu (Śrīlāta) or of bīja (ālayavijñāna) by the Yogācāra. However, the full connotation of the concept has not been completely uncovered because the term bīja in Abhidharmakośabhaṣya is only brought up as a ground for the critical refutation of the terms such as prāpti or avijñaptikarma of the Sarvāstivāda philosophy.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o fall either into a bias or a dogmatic understanding if the evidential references are limited to the fragmentary remarks in AKBh, without being supplemented by such significant records as the Nyāyānusāra by Saṅghabhadra, the Catuḥsatyanirdeśa by Vasuvarman, known as an affiliate of the Sautrāntika, and the Yogācārabhūmi, the Mahāyānasaṅgraha, the Chengweishilun, and their commentaries in which frequent quotations of bīja theory presented by the Sautrāntika and its branch *Sthavirapākṣika are found.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viewed the hypothesis of Hyodo Kazuo, Kato Junsho, Harada Washo, and Sako Toshio etc in terms of their interpretations on the bīja theory of Vasubandhu and the concept of saṃtatipariṇāmaviśeṣa.

한국어

오늘날 세친(혹은 경량부)의 종자설이 그의 독창적 견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중현은 그것을 상좌 슈리라타의 舊隨界설의 아류, 혹은 譬喩者의 종자설과 동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종자(bīja)’는 能生法인 因緣(hetupratyaya)의 비유로, 유가행파의 종자(알라야식)설이나 상좌의 舊隨界설에서 보듯이 인연론 즉 세계 혹은유정의 삶의 근원을 해명하는 핵심적 논의이다. 그렇지만 『구사론』 상의 그것은 因緣論이라는 독립된 場에서 설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만 一句의 단편으로 得(prāpti)이나 無表業 등 유부교학의 비판논리로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그 뜻을 온전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해서 이에 관한 온갖 가설이 제기되었다. 그렇지만 세친의 종자설과 함께 상좌의 구수계설과 비유자의 종자설을 널리 인용 비판하는 중현의 『순정리론』이나 역시 經量部나 上座部(*Sthavirapākṣika, 상좌일파)의 종자설을 다량으로 인용 비판하는 『유가론』 『섭대승론』 『성유식론』 등과 이들 문헌의 제 주석서, 혹은 경량부 일파로 생각되는 婆藪跋摩의 『四諦論』 등의 도움 없이 『구사론』과 주석서 상에 언급된 단편의 기사만으로 세친(혹은 경량부)의 종자설을 추측할 경우 오해와 독단에 빠질 공산이 크다. 본고에서는 ‘相續轉變差別’의 讀法과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된 兵藤一夫, 加藤純章, 原田和宗, 佐古年穗 등의 일련의 추측성의 가설을 검토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세친의 종자설과 상좌 슈리라타
 Ⅱ. 세친 종자설에 대한 현대학자의 이해
  1. ‘相續轉變差別’의 讀法
  2. 兵藤一夫의 ‘種子=名色, 種子性=功能’설
  3. 加藤純章의 ‘相續의 특수한 변화=세친 創見’설
  4. 原田和宗 등의 ‘경량부 종자설=유가행파 기원’설
  5. 佐古年穗의 경량부 종자설과 세친 종자설의 분별
 Ⅲ.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오민 Kwon Oh Min. 경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