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일제강점기 경남의 권역별 한적 간행의 양상과 특징

원문정보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shing Chinese Books in Different Spheres of Gyeongna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deals with a task to understand Korea’s history of publication and printing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publishing Chinese boo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eanings of it. The period studied here is from 1910, the year of Japanese forcible annexation of Korea up to 1945, the year of the emancipation. The space is limited to Gyeongsangnam-do, and for convenience in description, this author topographically divides it into the central area, northwestern area, and southeastern area. In the central sphere, Jinju and Haman identically indicated the highest value by publishing 35 cases. But while Jinju strongly tended to maintain traditional culture just like Haman, it also had a movement to pursue changes as well. In the northwestern sphere, Sancheong and Hapcheon, the areas associated with Nammyeong Jo Sik, show high values in publishing Chinese books. In both regions, publishing collections of works and genealogies is found overwhelmingly frequently. This is the typical tendency of publication found in the region strongly intending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Contrary to that, Hamyang indicates half the publication of Sancheong and Hapcheon; however, in the 1920’s, new gatherings and ideological movements developed, and books equipped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came to be published. The southeastern sphere is the coastal area. Due to the natural conditions and cultural situations, originally, there were not many Confucian scholars residing in it. That is why the number of Chinese books published there is very lower than in the interior. In other spheres, the wood type is found often, but in the southeastern sphere, the new type is found more than the wood type or similarly. The aspects of publishing Chinese books in Gyeongna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summed up in three points. First, they tried to publish Chinese books in order to heighten their ancestors and maintain their family. Second, publishing Chinese books was very actively done in the 1930’s. Third, about the mode of publication, the wood type is found overwhelmingly often. Why was publishing Chinese books very active in the 1930’s? Publishing Chinese books was not very active in the 1910’s, but it increased explosively in the 1930’s. It should be because within the changes of the time full of the Japanese Empire’s annihil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ization through suppression, their consciousness of crisis about the discontinuance in their family’s existence reached the peak then. They also intended to carry out their mission to publish their ancestors’ collections of works and their own genealogy and hand them dow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y were living. Therefore, we can clearly assume that they preferred using the wood type that was much cheaper but equipped with the class as a traditional style to using the woodblock printing needing much more materials and manpower. This kind of tendency is more noticeably shown in the region more strongly intending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and based on this fact, we can again be sure of that.

한국어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출판인쇄문화사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과제로, 일제강점기에한적 간행이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것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의 시기는 일제가 강압에 의해 합병을 한 1910년부터 광복을 맞이하는 1945년까지로 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경상남도로 한정하되 서술의 편의를 위해 지형적 위치에 따라 중부, 북서부, 남동부 등 3개 권역으로 나누었다. 중부 권역에서는 진주와 함안이 동일하게 35건이 간행되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다. 진주는 함안처럼 전통문화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많았지만, 그런 가운데 새로운 변화를추구하려는 움직임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북서부 권역에서는 南冥 曺植과 관련된 지역인 산청과 합천에서 한적 간행이 높은수치를 보인다. 두 지역 모두 문집 및 족보의 간행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것은 전통문화를 지키려는 의지가 강한 지역의 전형적인 출판 경향이다. 함양은 산청과 합천에 비해간행수가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1920년대에 새로운 모임과 사상운동이 전개되어이채로운 성격의 서적이 출간되었다. 남동부 권역은 해안가에 속한 지역으로, 자연적 조건과 문화적 여건으로 본래 유학자들이 거주한 곳이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한적의 간행수도 내륙 지역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다른 권역에서는 목활자의 활용이 높은 반면, 남동부 권역에서는 신활자가 목활자보다 많거나 비슷한 수치를 보인다. 일제강점기 경남의 한적 간행 양상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선조의 선양과가문의 유지를 위해 한적 간행에 힘썼다. 둘째, 한적 간행이 매우 활발한 시기는 1930년대이다. 셋째, 간행 방법은 목활자의 사용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1930년대에 한적 간행이 매우 활발했던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1910년대에는 한적간행의 활동이 저조하다가 1930년대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일제의 강압에 의한 전통문화의 말살과 근대화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가문의 명맥이 끊어질 수 있다는위기의식이 최고의 정점에 달한 시기였기 때문이라고 이해된다. 그리고 자신이 생존해있는 동안 조상의 문집과 집안의 족보를 간행하여 후손에게 물려주겠다는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 물적·인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목판보다 전통 양식의 품위를 가지면서도 비용은 훨씬 적게 드는 목활자의 활용이 선호될 수밖에 없었던 점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통문화를 지키려는 의지가 강한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있다는 사실에서도 재삼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권역별 한적 간행의 양상과 주요 서적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전병철 Jeon, Byeong-cheol.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