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정하욱, 김갑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tilize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First, A total of 40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from 2001 to March 2018. The research and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udy of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consisted mainly of integrated research. Second, in general group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in childhood, and in most old age, studies conducted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dementia and brain damage. There were also more group studies than there were individual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reatment goals, sociality enhancement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mental health recovery and self-growth. Fourth,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use of each type of media, Hanji, Oriental painting brush, ink, and Korean color were used a lot. Various media such as gold flour, silver flour, and backing paper were used in the tools, but the frequency of use was low. Fifth, the activities in therapies was presented in order of creation, media discovery and mandala,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drawing activity. In conclusio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Media is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if deterrents, but the research method has been limited so far so that it can be effective through various verification method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화 매체 활용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 3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4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첫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는 통합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일반군의 경우, 유․아동기에 다양한 특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노년기에 치매나 뇌 손상과 같은 대상이 많았다. 또한 집단 연구가 개별대상 연구에 비해 많았다. 셋째, 치료목표의 분석 결과 사회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정신건강 회복, 자아성장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매체의 종류별 사용 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한지와 동양화 붓, 먹물과 한국화 물감이 많이 사용 되었다. 도구에서는 먹의 사용 빈도가 높았고, 이 외에도 금분, 은분, 배접지 등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었으나, 빈도는 낮았다. 다섯째, 활동내용은 그리기 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만들기, 매체 탐색, 만다라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나, 현재까지는 연구방법이 국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화 매체가 가진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 분석
  3. 분석의 기준 및 내용
 III. 연구결과
  1.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연구의 유형별 동향
  2.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연구의 대상별 동향
  3.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연구의 치료목표별 돔향
  4.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연구의 사용매체별 동향
  5.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연구의 활동내용별 동향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하욱 Jung, Ha-Uk.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박사과정 수료
  • 김갑숙 Kim, Cab Sook. 영남대학교 미술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