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Employing Positive Psychology on some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fficacy

송민지, 이영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Employing Positive Psychology on Some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fficacy. Among the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In K High School in W city, ten students showing signs of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such as absence, school rule violations, and poor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were selected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therapy by their teachers' recommendation. The study period spanned from November 8 to December 21, 2016, a total of 14 sessions were provided. Two sessions were given every week, and each session last 60 minutes.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School Life Adaptation Test developed by Jeon Hye-kyung(2007) and a Self-efficacy Scale(SES),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herer et al(1982), translated and localized by Hong Hye-young(1995), and further modified by Lee Kuk-hwa(2008) to be suitable for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and a non-parametric independent sample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y applied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adaptation of adolescents to school life. Secondly,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ositive psychology applied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be helpful to improv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한 K특성화고등학교 1, 2학년 중 학교생활적응이 어려운 고등학생으로 담임교사의 권유를 받은 10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11월 8일부터 12월 21일까지 주 2회, 매회기 60분씩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전혜경(2007)이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와 Sherer et al(1982)등의 자기효능감 척도(Self 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 이국화(2008)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을 활용하여 비모수 독립표본 Mann – 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친구관계, 학교규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정의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5. 연구설계
  6. 측정도구
  7.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1.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결과
  2.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민지 Song, Min-Ji. 숙명여자대학교 가족학과 가족학 박사과정
  • 이영옥 Lee, Young-Ok.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