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파사드 특성과 상업 간판의 연관 관계 연구 - 한중일 건축, 간판, 상품 전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mmercial Signboard and Facade Characteristics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Chinese & Japanese Architecture, Signboard, Product Display -

이문형, 송인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uggest signboard design improvement method based on signal characteristic in urban environment by reviewing the past cases on urban environment established by buildings, signboard, and product display in the city.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difference, signboard, and product display method for each city based on the facade. To find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signboard design, this study analyzed the signal characteristic facade, signboard, and product display in western, Japanese, and Korean medieval paintings. In western cases, the indoor product display was unavailable due to relatively dark structure and signboard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Asian countries, the openings were wide and the displayed product and service were apparent. Thus, the signboards were used in limited cases. Although Japan, China, Korea are all Asian countries, the countries have a unique feature. While Japan had relatively static commercial activities, China and Korea had active commercial activities. Also, Korean stores displayed products in a wide structure without divis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In western and Asian countries, products played the role of signboard instead of characters and the sculptures representing the products or services were installed due to illiteracy issue.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signboard improvement method in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elements such as facade, signboard, and product display. This study also promotes active use of various elements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users who are accustomed to horizontal elements. In conclusion, using the signal characteristic of each element is expected to help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the signboard design improvement.

한국어

상점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간판의 무분별한 설치 문제를 획일적인 간판 개선사업으로 인하여 개성 없는 도시 환경을 만들어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다. 간판 개선을 위하여 간판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축 구조, 상품 전시와 간판의 관계를 통하여 간판 개선 방향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건축, 상품 전시, 간판의 연관 관계를 찾기 위하여 과거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과거를 확인할 수 있는 동서양의 중세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양은 건물의 구조적 특징으로 내부가 어두워서 건물의 앞쪽에 상품, 서비스를 직접 노출하여 간판의 기능을 하였으며, 간판은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다. 동양의 경우는 건물의 개구부가 넓고, 밝아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확인하는데 제한이 없어서 간판은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일본은 건물의 앞쪽, 중국은 안쪽을 주로 활용하여 상품 전시를 하였다. 한국은 건물 외부까지 영역을 확장하여 좀 더 적극적인 상업활동을 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간판의 무분별한 설치 없이도 상업 건물 파사드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노출을 통하여 간판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과거 사례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각 요소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간판 개선 방향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서양 상업공간의 파사드와 전시, 간판
  2.1. 고대 유적에서의 사인적 특성
  2.2. 중세 서양 회화에서의 사인적 특성
 3. 동양 상업공간의 파사드와 전시, 간판
  3.1. 일본 회화에서 나타나는 사인적 특성
  3.2. 중국 회화에서 나타나는 사인적 특성
  3.3. 한국 회화에서 나타나는 사인적 특성
  3.4. 근대 사진에서 나타나는 사인적 특성
 4. 건축 구조를 통한 간판 디자인 유형 분석
 5. 상업공간의 간판 디자인 개선 방안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문형 Lee Moon Hyung. 한양여자대학교 컴퓨터정보과
  • 송인호 Song In Ho. 성균관대학교 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