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창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Value, Creating Shared Valu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n Corporate Complex Culture Space

김글, 장동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cultural complex space of companies 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rporate, consumer, and social shared value through the expansion of cultural complex spac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general adults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and 3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main variables are experiential value, creating shared value, brand image, brand loyal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perienti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ng shared value and brand image enhancement, and brand image is closely related to brand loyalty. Shared value cre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brand loyal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reating shared value leads to the formation of the brand image and the indirect effect that the brand loyalty is formed accordingly. The shared value that the company intends sh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uthentic strategy' that can not only endure the cultural benefit enjoyed by consumers but also imprint corporate brand image.

한국어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를 통한 공유가치창출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 복합문화공간 체험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50부의 설문결과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수는 체험가치, 공유가치창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이며 변수들 간의 관계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체험가치는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와 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을 띄고 있었다. 공유가치창출은 직접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면, 공유가치창출은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가 형성되는 간접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이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체험 기회 및 대상을 확대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하며,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인지과학 측면의 기술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기업이 의도한 공유가치가 소비자가 향유하는 문화적 혜택에서 그치지 않고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전략’의 수립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2.1.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
  2.2. 공유가치창출
  2.3. 브랜드 이미지
  2.4. 브랜드 충성도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과 가설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조작적 정의
  3.4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3.5 분석방법
 4. 분석결과
  4.1 상관관계 및 모형 적합도
  4.2 가설의 검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글 Kim Gyul.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 장동련 Chang Don Ryun.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